[사설] ‘언딘’ 둘러싼 논란 지금은 부적절하다
입력 2014-05-01 02:11
세월호 구조작업에 참여하고 있는 민간업체 ‘언딘 마린 인더스트리(이하 언딘)’와 관련된 잡음이 그치지 않고 있다. 민간 잠수부의 성과를 가로채려 했다는 의혹이 첫 번째다. 범정부 사고대책본부는 지난달 19일 언딘이 최초로 실종자 시신을 발견했다고 브리핑했었다. 그러나 한 종편방송사는 28일 언딘 측이 민간 잠수부들에게 첫 시신을 언딘이 수습한 것으로 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언딘 측은 다음 날 기자회견을 갖고 민간 잠수부가 시신을 처음 발견한 것은 맞지만, 언딘이 발견한 것으로 해달라고 요구했다는 건 잘못된 보도라면서 법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그러자 종편방송사는 민간 잠수부의 증언을 추가로 보도하면서 언딘의 주장을 반박했다. 범정부 사고대책본부는 30일 “확인한 결과 첫 시신은 민간 잠수부가 발견했다”면서 잘못 브리핑한 데 대해 사과했지만 논란은 매듭지어지지 않은 상태다.
이런 와중에 해양경찰이 언딘을 위해 해군의 최정예 잠수요원들의 투입을 막았다고 국방부가 진성준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에게 제출한 답변서를 통해 밝혔다. 사고 이틀째인 지난달 17일 해군의 특수전전단과 해난구조대 대원 19명을 대기시켰으나 해경이 언딘의 우선 잠수를 위해 현장 접근을 통제하는 바람에 철수했다는 것이다. 모두 힘을 합쳐 한 명이라도 더 구조해야 할 시간에 현장에서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벌어졌던 것이다. 그동안 나돌았던 해경의 ‘언딘 특혜설’을 뒷받침하는 자료이기도 하다.
정부기관이 언딘의 지분 30% 정도를 보유 중이라는 사실도 드러났다. 특허청과 정책금융공사 등이 출자한 펀드가 언딘에 투자된 것으로 알려지자 ‘언딘의 정체가 뭐냐’는 의문이 나오고 있다.
언딘과 해경이 소상히 해명해야 할 대목들이다. 하지만 지금은 때가 아니다. 실종자 수색 작업에 민관군의 구조요원들이 한마음으로 최선을 다해야 할 시점이다. 시신이라도 찾기 바라는 실종자 가족들의 애끊는 마음을 헤아려야 한다. 언딘을 둘러싼 의혹 제기는 당분간 중단하는 게 바람직하다. 사고 수습 후 규명해도 늦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