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서울시장후보 경선 재개… 鄭 ‘정부 탓’ 金 ‘기업 탓’… 세월호 책임 공방

입력 2014-04-30 03:44

새누리당 서울시장 경선 후보인 정몽준 의원과 김황식 전 국무총리, 이혜훈 최고위원은 29일 열린 2차 TV토론에서 세월호 사고 책임론 등을 놓고 날선 신경전을 펼쳤다. 세월호 참사로 애도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어 TV토론이 차분하게 진행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실제 토론이 시작되자 뼈있는 발언들을 교환했다.

TV토론 초반에는 세 명의 경선 후보들 모두 세월호 참사에 안타까움을 드러내며 저마다 ‘안전한 서울’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정 의원은 “초동 대처와 구조 작업은 중구난방인데 국회는 아무 일도 못했다”면서 “시정의 최우선 순위를 안전에 두고 직접 챙기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김 전 총리는 “이 사건은 탈법과 편법, 부도덕한 기업인의 탐욕, 관련 행정기관의 무능, 무책임이 빚어낸 총체적 참극”이라며 “원칙에 충실한 안전 대한민국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모두발언이 끝난 뒤 정 의원이 먼저 “이번 참사에 책임이 있는 주성호 전 해운조합 이사장은 김 후보가 총리 시절 훈장을 받았고 국토해양부 차관도 지냈다”며 포문을 열었다.

김 전 총리도 물러서지 않았다. 그는 “(정 의원이 대주주로 있는) 현대중공업은 최근 안전사고로 7명의 근로자가 희생됐고 원전비리사고에도 연루돼 6명이 유죄판결을 받았다”며 “정 후보는 안전사고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반격을 가했다.

정 의원은 “안전사고에 대해서는 유족들에게 심심한 사과를 드리지만, 특정 회사를 공개 토론에서 매도하는 것은 실망스럽다”면서 “김 전 총리가 ‘부도덕한 기업인의 탐욕’이라고 말했는데 그렇게 기업인을 매도한다고 해서 정부 책임을 회피할 수 있겠는가”라고 맞받아쳤다.

이 최고위원은 김 전 총리의 감사원장 재직 시절 세월호 선령(船齡)이 연장됐다는 점을 언급하며 “당시 안전점검을 강화하라는 정부 용역보고서가 있었지만 감사원장에서 총리로 옮겨간 뒤 한 번도 점검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김 전 총리는 “총리로 재직할 때 많은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는 지적에 공감한다”면서도 “도의적 책임을 져야겠지만 현실적으로 모든 문제를 관장할 수는 없다”고 반박했다. 이 부분과 관련해 이 최고위원은 토론이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업무를 안 했으니 직무유기”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후보들 간 설전은 곳곳에서 이어졌다. 지난 9일 1차 TV토론에서 김 전 총리가 ‘나는 친박이다’라는 질문에 ‘세모’로 중립을 표시한 데 대해 정 의원은 “소신이 없다”고 비판했고 김 전 총리는 “솔직한 것”이라고 되받았다. ‘뼈아픈 질문’을 하는 코너에서 김 전 총리에게 지지율을 끌어올릴 복안을 묻는 질문이 나오자 정 의원은 “김 후보에게만 홍보 기회를 줬다”고 반발했다.

정 의원은 막내아들이 페이스북에 올린 ‘국민 미개’ 글에 대해 다시 한번 사과했다. 그는 “무슨 설명을 더 할 수 있겠나. 진심으로 죄송하다”고 했다.

권지혜 김동우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