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참사] 한국선급 전·현 임직원 계좌추적… 정·관계 유착 연결고리 찾아낸다
입력 2014-04-29 02:19
검찰이 대형 선박 안전검사 기관인 한국선급(KR) 임원과 직원들의 금품 수수와 정·관계 유착 혐의에 대해 전방위 수사를 벌이고 있다.
부산지검 특별수사팀(팀장 박흥준 부장검사)은 28일 한국선급에서 압수한 회계장부와 전산자료를 분석하면서 비리정황이 포착된 한국선급 전·현직 임직원의 계좌추적에 착수했다.
특별수사팀은 이번 주부터 팀장급 직원 4∼5명을 불러 회사의 자금 흐름을 조사하면서 2012년 신사옥 공사비와 정부 지원 연구비 등을 빼돌린 혐의를 입증할 계획이다. 특별수사팀은 이들이 선박 검사에 대한 편의를 제공하는 대가로 선사(船社) 등 해운업계 관계자로부터 금품로비를 받거나 해양수산부 공무원과 정치인들에게 금품과 향응을 제공한 혐의를 일부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별수사팀은 이르면 이번 주부터 비리가 포착된 한국선급 전·현직 임직원 중 일부를 소환조사할 예정이다.
수사팀은 한국선급의 정·관계 유착 연결고리도 추적하고 있다. 검찰은 한국선급이 2011년 추석 때 해양수산담당 공무원에게 수십만원 상당의 상품권을 전달하고 2012년 12월 또 다른 공무원들에게 식사와 향응을 제공한 단서를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오공균(62) 한국선급 전 회장이 6년간 회장으로 지내면서 정치인들에게 쪼개기 형식으로 후원금을 지급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후원금을 통해 정·관계 로비에 나섰을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서다. 오 전 회장은 “한국선급과 관련된 선박안전법 개정과 관련해 국회 재경위원회와 농림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의원들의 도움이 필요하다”며 후원금 기부를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선급은 2008년 4월 18대 총선을 앞두고 국회의원 18명을 지정해 직원 151명의 이름으로 모두 1555만원의 후원금을 냈다.
특별수사팀은 한국선급의 역대 회장과 이사장 12명 가운데 8명이 해양수산부나 관련 정부기관 관료 출신이고, 임원들도 해수부와 해양경찰청 고위간부 출신들이 많아 해운업계와 유착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별수사팀은 또 여객선 선사들이 구조 변경 등으로 선박을 무리하게 증개축한 것에 대해서도 수사 중이다. 여객선의 증축과 탑승인원 늘리기는 한국선급의 승인 없이는 불가능하다. 여객선 선사들은 수익성 극대화를 위해 승객들의 안전에는 뒷짐을 진 채 무리하게 증개축을 했고, 한국선급은 이를 묵인했다는 의혹이 나오고 있다. 실제 전국 166개 연안 여객선 중 선박 도입 후 승선 인원을 늘린 여객선은 총 58개(34.9%)에 달한다. 이로 인해 당초 해당 선박들이 수용 가능했던 인원도 총 1만3812명에서 1만9694명으로 5882명(42.5%) 늘어났다. 증설한 31개 여객선 중 1개의 여객선을 제외하면 모두 한국선급과 한국선박안전기술공단(KST)으로부터 복원성 재검사를 받았다. 이 명단에는 침몰 사고를 낸 세월호도 포함돼 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