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센카쿠 日 편들기’… 중국, 전방위 반격 나서

입력 2014-04-28 03:07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노골적인 ‘일본 편들기’에 중국이 전방위 대응에 나섰다.

중국은 우선 미국과 일본이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미·일 안보조약 적용 대상으로 명기한 정상회담 공동성명을 발표한 데 대해 중국 주재 양국 대사를 불러 항의했다. 친강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25일 오후 홈페이지에 올린 ‘기자와의 문답’에서 “외교부 책임자가 오늘 오후 개별적으로 미국과 일본의 주중대사를 만나 엄정한 항의를 했다”고 밝혔다. 친강 대변인은 앞서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미·일 공동성명의 일부 내용은 제삼국의 이익을 훼손하는 내용을 담고 있고 미·일 안보조약은 냉전 시기의 산물”이라고 비난했다. 중국이 영토 갈등 문제와 관련해 미국대사까지 불러 항의한 것은 이례적인 일로 미국에 대한 본격적인 반격의 신호탄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추이톈카이 주미 중국대사도 이날 하버드대 강연 도중 청중과의 문답에서 “(미국이) 잘못된 선택을 했을 가능성이 아주 크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중국 해경 당국은 미·일 정상회담 이후 이틀 만인 26일 센카쿠 해역에 대한 ‘항의성’ 순찰에 나섰다. 인민망(人民網)은 중국 해경 2401호와 2166호 등 2척이 센카쿠 해역 순찰을 벌이고 있다고 중국 국가해양국 발표를 인용해 보도했다. 특히 “영해를 순항하고 있다”고 보도한 점으로 미뤄 중국의 해경선이 센카쿠 해역 12해리 이내로 접근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는 또 일본의 과거사 문제를 공론화하는 데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중국 외교부는 28~29일 자국 주재 외신기자들을 초청해 지린성 창춘과 헤이룽장성 하얼빈에 있는 일제 침략 유적과 사건 현장을 둘러보는 취재일정을 기획했다. 외신기자들을 불러 일제 만행 현장을 둘러보는 행사는 중국 정부가 중·일 관계가 급속히 악화한 지난해 말부터 주로 활용해오고 있는 대일 압박 수단 중 하나다. 중국 언론들은 27일 지린성 기록보관소가 최근 새롭게 발굴한 기록물 89건 등을 담은 ‘일본의 대중 침략 당안 연구’란 책자를 발간한 사실을 토대로 2차 세계대전 중에 일본군이 저지른 만행을 주요 뉴스로 보도했다.

맹경환 기자 khmae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