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참사-기획] 수색 작업 참여 ‘언딘’ 청해진해운과 계약 업체 ‘논란’
입력 2014-04-24 21:17 수정 2014-04-25 04:01
[쿠키 정치] 세월호 침몰 사고 현장에서 해경·해군과 민간 잠수사 간의 불협화음이 계속되고 있다. 당국이 수색·구조에 참여시킨 민간 구난업체 ‘언딘 마린 인더스트리’(이하 언딘)를 밀어주고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특히 이 업체가 사고 당사자인 청해진해운과 계약을 맺고 수색작업에 참여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1분 1초라도 서둘러 수색과 구조에 나서야 할 상황에 민·관이 힘을 합치기는커녕 다투기만 하는 형국이다.
범정부 사고대책본부 등에 따르면 언딘은 세월호 수색작업 초기부터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수색에 자원한 민간 잠수사들은 해경 등 당국이 자신들의 참여를 막으면서 언딘에 특혜를 주고 있다고 주장해 왔다. 논란은 24일 언딘이 청해진해운과 계약 관계에 있는 업체라는 점이 알려지면서 증폭됐다. 일부 민간 잠수사들은 “세월호 침몰 사고의 책임자가 사고 해역을 장악하고 수색작업을 펼치는 꼴”이라며 “수색작업의 투명성을 담보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다이빙벨(잠수용 엘리베이터) 등 구조장비 사용 여부를 놓고도 논란이 계속됐다. 당초 구조 당국은 민간 잠수사들이 가져온 다이빙벨 사용을 안전 문제를 이유로 거부했다. 하지만 이후 언딘이 다이빙벨을 가져와 현장에 배치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특혜 논란이 불거졌다.
이에 사고대책본부 측은 “언딘과 청해진해운의 계약은 사고 발생 이후인 4월 17일 이뤄졌다”면서 “해사안전법 등 관련 법규에 따라 군·경과 함께 효과적 구난 조치를 해야 할 의무가 있는 선박 소유자가 조치를 취한 것으로 결자해지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구조 당국과 민간 잠수사들 사이의 갈등은 이날 내내 계속됐다. 대책본부는 이날 브리핑에서 “지금까지 자원봉사자(민간 잠수사)의 구조 실적은 없다”고 밝혔다. 고명석 대변인은 “자원봉사자들은 총 34개 단체 343명이 현장을 방문했고 그 가운데 16명이 실제 입수했다”며 “대부분 거센 물살과 제한된 시야로 물 속에서 10분도 채 안돼 나오거나 입수도 안 한 채 사진만 찍고 돌아가는 분도 있었다”고 말했다. 민간 잠수사 측에서 “정부가 입수 기회를 주지 않았다”고 주장한 것에 대한 반박인 셈이다. 23일에는 민간 잠수사들이 해경에 불만을 나타내며 철수하기도 했다.
국회에는 이미 민·관 혼선을 해소하기 위한 법안이 제출돼 있었지만 아직도 계류 중이다. 지난달 28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김승남 의원은 ‘수난구호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법안은 해경과 민간 잠수사 간의 협업을 규정한 것으로 해상 구조에 전문적 능력을 갖춘 이들에게 해양경찰청장이 수상구조사 자격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민간 잠수사협회의 구조 작업에 필요한 경비 일부를 국가가 지원토록 하고 있다. 세월호 침몰 전날인 지난 15일에도 국회에서는 이 법안이 논의됐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