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일반인·외국인 피해자에게도 소홀함 없어야

입력 2014-04-25 02:01

세월호 탑승객 476명 중 안산 단원고 학생과 교사는 338명이다. 단원고 학생들의 피해가 워낙 크다 보니 정부 지원과 대책이 피해 학생과 가족들에게 집중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가만히 있으라’는 선내 안내방송에 따라 채 피기도 전에 눈앞에서 사라진 아이들에 대한 미안함과 자책에 온 국민의 관심은 피해 학생들에게 쏠려 있다.

단원고 피해 학생이나 유족들에 대한 지원도 제대로 못하는 정부에 무엇을 더 기대할까마는 일반인 피해자들을 방치하는 것 또한 직무유기다. 세월호 구조자 174명 중 단원고 학생은 75명이고 일반인은 99명이다. 단원고 학생들은 고대안산병원에 입원해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 심리상담과 치료를 받고 있지만 일반인 생존자들은 각자 알아서 치료 방법을 찾아야 하는 실정이다. 생지옥에서 빠져나온 일반인들도 악몽에 시달리고 불안증세가 심해 심리치료가 절실한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그런데도 대부분은 최소한의 응급조치만 받고 귀가했다고 한다. 정부가 이들을 위해 한 일은 거주지 인근 정신건강증진센터나 상담전화 안내뿐이라니 무책임하다.

세월호에 탑승한 일가족 중 5세 아이나 8세 아이만 구조된 경우도 있다. 이들은 어디서 가족들의 시신을 수습하고 장례를 치러야 할지 막막한 상황이다. 최소한 한 가족당 한 명이라도 지원 인력이 배치돼 보살펴야 한다. 국가의 가장 기본적인 존립 이유는 자국민 안전과 보호다. 기본도 지키지 못하는 정부는 국민들에게 세금을 내라고 할 자격이 없다.

외국인 탑승객에 대한 지원도 소홀해선 안 된다. 당초 범정부 사고대책본부는 외국인 탑승객이 5명이고 그중 2명만 구조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난 21일 승선자 명단에 없던 외국인 시신이 발견돼 피해 집계의 허점을 또 드러냈다. 초기 대응에 실패해 수많은 인명 피해를 낸 것도 모자라 얼마나 더 실수를 반복할 셈인가. 전 세계가 세월호 수습 과정을 주시하고 있다. 실추된 대한민국의 국격을 다시 하나씩 하나씩 쌓아가는 것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