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남 일 아니다” 中·대만 선박 관리 강화

입력 2014-04-24 02:30

세월호 침몰 참사는 이웃한 중국과 대만에도 경종이 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다음 달 1일부터 3일까지 계속되는 노동절 휴가를 앞두고 선박 사고 방지를 위한 긴급 대책을 발표했다. 더욱이 일본은 5년 전 고정되지 않은 화물이 한쪽으로 쏠리면서 여객선이 전도된 사고를 겪은 뒤 엄격한 화물 관리 기준을 시행하고 있으나 우리는 강 건너 불구경하듯 지내온 것으로 드러났다.

중국 교통운수부가 최근 해사 관리기구와 여객선 회사, 선박 검사기구 등에 전달한 긴급통지문은 아주 강한 대책을 담고 있다고 중국 법제만보(法制晩報)가 23일 보도했다.

교통운수부는 무엇보다도 제멋대로 구조를 바꾼 선박에 대해서는 이번에 예외 없이 안전 검사를 다시 실시하도록 지시했다. 50인승 이상 선박은 노동절 전까지 바다 위에서 선박을 버리고 긴급 대피하는 훈련과 소방 및 인명구조 훈련을 의무적으로 시행토록 했다. 또 승객이 동참하는 위기대응 훈련도 실시하도록 권고했다.

긴급통지문은 “한국 세월호 침몰 사고의 교훈을 충분히 새겨 선박 안전 관리에 더욱 힘을 쏟도록 하라”고 세월호 참사를 적시했다.

앞서 대만 교통부는 21일 입법원(국회) 교통위원회 보고에서 여객선 등을 대상으로 한 정기 현장 안전검사와 비상시 선상 구조훈련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여객선 승무원과 선원이 비상 상황 대응법을 충분히 훈련했는지 수시로 점검하고 승객 대상 안전교육 프로그램도 보강하기로 했다.

일본 당국은 2009년 11월 일본 미에(三重)현 구마노(熊野)시 인근 해역에서 여객선 아리아케호(7910t)가 전도된 사고를 겪은 뒤 선박 내 화물 고정과 관련한 엄격한 가이드라인을 적용해 왔다고 일본 NHK가 보도했다.

아리아케호는 컨테이너 150개, 차량 32대, 중기계 6대 등 2400t이나 되는 화물을 싣고 운항하던 중 파도의 충격에 의해 화물이 한쪽으로 급격하게 쏠린 뒤 균형을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당시 승객 7명과 승무원 21명은 모두 구조됐으나 중유가 대량으로 유출돼 인근 바다를 심각하게 오염시켰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wkc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