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잇따르는 현대重 안전사고 대체 왜 이러나

입력 2014-04-24 02:11

세계 최대의 조선회사라는 타이틀이 무색할 정도로 현대중공업과 계열사에서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달 7일 현대삼호중공업에서 근로자가 대형 철판에 깔려 숨진 것을 시작으로 지난 21일 현대중공업에서 건조하던 액화석유가스(LPG) 운반선에서 불이 난 것까지 포함해 46일 동안 안전사고 5건이 발생했다. 이 사고들로 하청업체 근로자 6명이 귀중한 목숨을 잃었고 2명이 다쳤다.

현대중공업 2건, 현대삼호중공업 2건, 현대미포조선 1건 등 현대중공업그룹 산하 조선사업장별로 돌아가면서 안전사고를 냈다. 사고유형도 압사 1건, 추락 3건, 화재 1건 등으로 다양했다. 지난 7일 현대미포조선에서 발생한 추락사고 때는 현장에 추락방지시설도 설치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줬다. LPG 운반선 화재의 경우 선박 안에서 근로자 130여명이 일하고 있어 자칫 초대형 인명피해로 이어질 뻔했다. 이 정도면 현대중공업그룹이 안전불감증에 걸렸다는 지적을 받아도 할 말이 없을 것이다.

조선사업장은 작업 특성상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빈발하는 곳이다. 특히 촉박한 기간 안에 작업을 끝내야 돈을 받는 하청업체는 상대적으로 안전에 신경을 쓰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대부분 고공에서 위험하고 유해한 용접 절단 도장 등의 일을 하는 하청업체 근로자들은 안전사고에 무방비로 노출될 확률도 높은 편이다. 원청업체인 현대중공업과 계열사들이 3회 이상 산업재해가 발생한 하청업체에는 불이익을 주기 때문에 산재 은폐도 다반사로 일어난다. 금속노조 현대중공업 사내하청지회는 지난해 산재 은폐 실태를 조사한 결과 106건을 적발했다고 발표한 적이 있다. 원청업체는 하청업체 근로자의 산재에 대해 전혀 책임을 지지 않고 하청업체는 원청업체로부터 부당한 조치를 받지 않으려고 산재를 숨기기에 급급한 것이 현실이다.

현대중공업과 계열사들은 하청업체의 산재를 줄이기 위한 다각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는 명실상부한 조선업계 1위 기업이 마땅히 해야 할 일이다. 솜방망이 처벌 규정을 두고 있는 산업안전보건법도 시대에 맞게 개정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