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참사] 중앙정부 못잖게… 지자체도 더듬이 대응 禍 키웠다
입력 2014-04-23 03:04
세월호 침몰 사고가 대참사로 이어진 데는 사고 초기 중앙정부는 물론 지방자치단체의 허술한 대응 탓이 크다.
2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 등에 따르면 전남소방본부 상황실에 세월호 침몰 신고가 최초로 접수된 것은 지난 16일 오전 8시52분이었다. 정부 재난대응 컨트롤타워인 중대본은 오전 9시45분 가동됐다. 하지만 중대본을 중심으로 한 관계 부처의 유기적인 협력체계가 실종되면서 정부의 재난 대응체계는 처음부터 삐걱댔다. 중대본이 불확실한 정보와 지휘체계 혼선 등으로 허둥대는 사이 사고 초기 구조 가능 시간인 ‘골든타임’을 놓치고 말았다.
그러나 지자체 역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상황이다. 사고 발생 해역이 속한 전남도는 당일 오전 언론속보를 통해 사고 사실을 처음 접했다. 이후 목포 서해해경청에 연락해 사실관계를 확인한 뒤 9시50분 부랴부랴 대책본부 상황실을 가동했다. 하지만 이후 사실상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하고 중앙정부에서 급파된 공무원들을 지원하는 수준에 그쳤다는 지적이 나온다.
진도군청과 전남도 간 응급의료시설 관련 불협화음이 일기도 했다. 사고 당일부터 현장에 체류했던 새누리당 김명연 의원은 지난 18일 당 세월호사고대책특별위원회에서 “진도군청과 전남도청의 손발이 안 맞아 응급의료시설 공간을 제때 확보하지 못하는 등 체계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전남도가 2012년까지 최근 5년 연속 재난관리 최우수도로 선정된 것을 스스로 무색케 한 셈이다. 엇박자 대응이 재연된 것은 경기도도 마찬가지다. 경기도는 사고 사흘째인 18일에서야 경기도교육청 및 안산시와 함께 합동대책본부를 구성해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합동대책본부는 19일에도 제대로 가동되지 못하는 등 사고 초기 수습에서 손을 놓고 있었다는 비난을 받았다. 당시 해당기관 책임자와 실무자들은 합동대책본부의 존재조차 모르는 경우도 있었다.
경기도교육청도 세월호 침몰사고 직후 학생들이 전원 구조됐다는 잘못된 공지로 공분을 샀다. 사고 당일 오후에도 구조된 인원이 수백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해 구설에 올랐다. 또한 ‘오전 8시10분 제주해경으로부터 침몰사고 사실을 통보받았다’고 상황일지에 기록해 혼선을 빚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수원·목포=김도영 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