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청해진해운은 수익 극대화에만 혈안이었나

입력 2014-04-23 02:01

국내 최대 규모의 세월호 운영사인 청해진해운은 선원들에게 비상상황을 대비한 훈련을 전혀 시키지 않았다고 한다. 과도한 객실 증설로 선체 떨림이 심하다는 선장의 건의도 묵살했다. 그러면서도 여객수와 화물량을 속여 세금을 적게 내는 등 돈벌이에만 혈안이 됐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강도 높은 수사가 뒤따라야 하는 명백한 이유다.

비상시를 대비한 선원들의 훈련은 선원법에도 규정돼 있다. 열흘에 한 번씩 소방훈련과 구명정훈련을 하게 돼 있다. 두 달에 한 번씩은 바다에 직접 구명정을 띄워놓고 훈련해야 한다. 모두 승객과 자신들의 안전을 위한 것이다. 세월호는 이 모든 것을 생략했다. 청해진해운이 지난해 안전교육 등 선원 연수비로 지출한 돈은 불과 54만1000원이었다.

건조한 지 18년 된 중고 선박을 일본에서 들여온 뒤 무리하게 개조한 경위도 반드시 규명돼야 한다. 세월호를 리모델링하면서 배의 무게중심을 높여놨을 가능성이 높다. 여객선은 군함이나 화물선과 달리 선체의 무게중심이 위쪽으로 쏠릴 가능성이 높다는 것은 해운사 측이 훨씬 더 잘 알 텐데도 수익극대화에 눈이 멀어 승객들의 안전을 무시한 책임을 반드시 물어야 한다.

대부분의 선원들을 6개월∼1년 단위의 단기 계약직으로 채용한 것도 문제다. 전체 승무원의 절반가량이 비정규직이다 보니 위기대처능력이 현저히 떨어진 것 아닌가. 위기에 봉착했을 경우 선장을 중심으로 일사불란하게 움직여도 상황을 헤쳐 나가기가 쉽지 않은 마당에 고용이 불안하니 체계적인 위기극복이 힘들었다. 선장조차 1년짜리 계약직이었다니 어디 영이나 제대로 섰을까.

청해진해운은 사고 당일 꾸린 대책본부를 하루 만에 폐쇄하고 외부 접근조차 막았다. 비판 여론에 밀려 마지못해 언론 브리핑을 했지만, 혼란만 부추긴 채 의혹이 확산되자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피해자 보상 등 사후 대책도 제멋대로다. 그런데도 실질 소유주는 해외에 어마어마한 재산을 소유하고 있다고 한다. 학생들의 목숨을 담보로 돈을 챙기는 이런 부도덕한 기업을 검찰이 좌시해선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