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해상보안청, 2013년 사고 구조율 96%
입력 2014-04-22 03:34
진도 여객선 침몰 참사와 관련해 초기 대응에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사면이 모두 바다로 둘러싸인 일본의 구난 체계와 화물 관리 기준도 이목을 끌고 있다.
21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은 주변 해역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해상보안청의 특수구난대 등이 순시선과 항공기를 동원해 구조 활동을 벌이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지난달 18일 가나가와현 미우라시 인근 앞바다에서 한국과 파나마 선적의 화물선이 충돌하면서 1척이 침몰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해상보안청 순시선과 헬기, 특수구난대가 신속히 출동해 승무원 등을 구출했다.
해상보안청은 해난사고와 관련해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잠수사 120명 정도를 보유하고 있다. 하네다 공항에 거점을 둔 특수구난대는 이 중에서도 뛰어난 잠수사 36명을 24시간 대기 체제로 운영한다.
해상 표류자 등이 발생하면 헬기를 동원해 구조하는 기동구난사도 전국 8개 지역에 분산 배치했다. 해상보안청은 이런 시스템으로 지난해 해난사고 구조율이 96%를 기록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일본은 2009년 11월 파도의 충격으로 화물이 한쪽으로 미끄러지면서 전도된 여객선 아리아케호 사고 이후 선박 내 화물 고정과 관련해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 왔다고 NHK가 보도했다. 세월호 침몰 원인으로 추정되는 상황과 닮은 사고였다.
이후 정부는 해운회사가 선박 내 화물 관리 매뉴얼을 의무 작성토록 했다. 한 해운사의 매뉴얼은 요철이 있는 쇠붙이로 선박 내 컨테이너들을 서로 연결한 뒤 와이어로 선체에 고정하도록 했다. 또 출항 전 화물 고정 여부를 확인하고, 항해 중에도 2시간마다 화물 고정 상황을 점검하도록 했다.
일본 전문가들은 진도 여객선 침몰 사고에서 초기 대응이 신속하게 이뤄지지 않아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오가와 야스하루 일본해난방지협회 상무이사는 “공기와 마실 물을 확보할 수 있고 인체가 물에 잠기지 않게 해 저체온증을 피하느냐가 선박 전복 사고의 실종자 생존에 중요한 조건”이라고 밝혔다.
이제훈 기자 parti98@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