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방재난관리청, 구조·복구 베테랑들 집결

입력 2014-04-22 02:02

세월호 침몰 참사로 미국의 재난관리 체계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미국에서는 연방재난관리청(FEMA)이 국가적 재해·재난을 관리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다. 홍수와 허리케인, 지진 같은 자연재해와 테러 등의 재난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연방조직의 필요성을 절감해 대통령 행정명령으로 1979년 설립됐다.

FEMA는 국가적 재난이 일어나면 28개 부처·청과 민간 구호조직을 통솔하는 중추가 된다. 연방제 국가인 미국에서 재해가 발생하면 주정부가 일차적인 책임을 지지만 FEMA만 한 전문성과 노하우를 가지기는 힘들다.

미 전역을 10개 지역으로 나눠 지역청이 배치돼 있다. FEMA가 모든 재난에 개입하는 것은 아니다. 지역정부나 주정부가 감당할 수 없는 정도로 심대한 재난만 맡도록 돼 있다. 자연재해의 경우 주지사가 비상사태를 선언한 경우에만 FEMA가 전면에 나선다. 1995년 오클라호마 폭탄 테러나 2003년 컬럼비아 우주왕복선 공중분해 사고와 같은 연방 재산이나 자산에 대한 응급 상황이나 재난에도 대응한다.

재해 복구 지원이 FEMA의 주요 사명이지만 주정부와 지자체에 전문가를 공급하고 재건을 위한 자금 지원도 수행한다. 한국과 비교해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재해 예방과 복구, 구호 관련 업무의 베테랑들이 모여 전문성이 높고, 효율적이고 조직화된 시스템을 구축했다는 점이다. 재난 현장과 각종 기관에서 들어오는 방대한 양의 정보와 데이터를 처리해 실효성 있는 정보로 가공·공급하는 재난관리 지원환경 프로그램(DMSE)도 구축돼 있다. DMSE는 당장의 재난구호는 물론 사후 재난 예방과 구호작업 평가에도 큰 도움을 준다.

FEMA가 항상 좋은 평가를 받은 것은 아니다. 조지 W 부시 대통령 시절인 2005년 루이지애나주를 덮친 허리케인 카트리나에 늑장 대응해 청장이 사퇴하기도 했다. 반면 2012년 대선 직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허리케인 샌디가 할퀴고 간 뉴저지주를 즉시 국가재난지역으로 선포하고 FEMA를 통해 총력적인 구호·복구 노력을 펴도록 했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