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사태 4자회담 돌입… ‘외교 해법’ 나올까 촉각
입력 2014-04-18 03:58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을 위한 미국, 유럽연합(EU), 러시아, 우크라이나 간 4자회담이 17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시작돼 외교적 해법을 모색했다.
존 케리 미 국무장관, 캐서린 애슈턴 EU 외교·안보 고위대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교장관, 안드레이 데쉬차 우크라이나 외교장관 등은 이날 오전 제네바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만나 우크라이나 동부지역의 긴장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4자 대표는 먼저 양자 회동을 통해 의견 조율을 마친 뒤 오후 들어 본격적인 4자회담을 이어갔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외교장관이 처음으로 함께 자리했다는 점에서 외교적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지 촉각이 모아졌다. 하지만 이날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에선 친(親)러시아 분리주의 시위대 3명이 추가로 숨지면서 책임 소재에 대한 공방이 벌어지며 회담은 진통을 겪은 것으로 전해졌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회담 직전 “우크라이나에서 군사력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이 대통령인 나에게 있다”고 말했다.
러시아 인테르팍스 통신에 따르면 아르센 아바코프 우크라이나 내무장관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전날 밤 약 300명의 친러 시위대가 도네츠크주(州) 마리우폴에 주둔 중인 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 부대를 공격해 경찰이 이들을 체포하는 과정에서 3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고 전했다.
우크라이나와 미국, EU는 동부지역 친러 시위대의 배후에 러시아의 지원이 있다고 의심하고 있다. 러시아는 이를 부인하며 “우크라이나가 무력을 사용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푸틴 대통령은 TV 방송으로 생중계된 ‘국민과의 대화’에서 러시아의 배후 조종설에 대해 “이 지역에 러시아 정보기관 요원이나 군사전문가는 한 명도 없으며 시위대는 모두 현지 주민들”이라고 주장했다. 또 “러시아 상원이 우크라이나에서 군사력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대통령에게 승인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군사력 사용 가능성을 내비치며 압박 수위를 높인 것이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국가안보국(SBU)은 “동부지역 진압 과정에서 러시아 여권을 지닌 10여명을 체포해 조사 중”이라며 “모두 정보활동을 한 경험이 있는 인물들”이라고 반박했다.
미국은 푸틴 대통령의 측근인 신흥재벌 올리가르히 등과 이들이 운영하는 기업체를 추가 제재 대상으로 선정해둔 것으로 전해졌다. 한 고위 관리는 이번 회담이 추가 제재 이전에 러시아와 대화하는 ‘마지막 시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