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위안부 해법은 피해 할머니들 의견이 중요하다

입력 2014-04-17 03:31

한·일 관계를 악화시킨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양국 견해차는 크다. 우리 정부는 법적인 책임 인정과 피해자들이 납득할 수 있는 실질적인 해결책 마련을 일본에 주문하고 있는 반면 일본 정부는 1965년 한·일 청구권협정에 따라 이미 해결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더욱이 국민들 감정과 연관돼 있는 매우 민감한 사안이기도 하다.

이 문제의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양국 정부 당국이 16일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처음으로 협의를 가졌다. 20년 이상 타협점을 찾지 못한 난해한 문제인 만큼 첫 협의의 성과는 거의 없었다고 한다. 그렇더라도 의미가 작지 않다. 양국이 협상테이블에 마주 앉아 본격적인 의견 조율에 착수했고, 협의 정례화에 합의한 점부터 평가할 만하다. 나아가 첫 협의에서 서로의 처지를 분명하게 확인했다면 이는 원만한 타개책 도출의 단초로 작용할 수 있다.

일본 정부가 올해 안에 위안부 문제를 타결짓자고 한국 정부에 통보했다는 외신 보도 역시 긍정적이다. 이 매체는 피해자들에 대한 일본 정부의 지원금 제공과 주한 일본대사의 직접 사과, 아베 신조 총리의 편지 발송 등이 일본 정부 내에서 거론되고 있다고 전했다. 미흡한 내용이지만, 일본이 적극적인 자세를 취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내년이면 양국이 국교를 정상화한 지 50주년이다. 냉랭한 관계를 정상으로 되돌릴 시점이 됐다. 이를 위해 원인을 제공한 일본 정부가 진정성을 보여줘야 한다. 아베 총리가 일본군 위안부의 강제 동원 사실을 인정한 ‘고노 담화’를 계승하겠다고 밝힌 연장선상에서 피해자들이 납득할 만한 후속 조치들을 내놓는 것이 급선무다. 이어 역사 왜곡과 영토 도발의 중지를 약속해야 할 것이다.

박근혜정부의 마음가짐도 전향적이어야 한다. 인내심을 갖고 문제를 풀어보겠다는 의지를 다져야 한다는 얘기다. 일본과의 위안부 협의를 지속하는 동시에 어느 수준의 대책이면 피해자들이 받아들일 수 있을지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위해 피해자들이 참석하는 공개토론회를 개최하는 방안도 검토할 만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