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장합동 교단 정치 1번지 ‘평양노회’ 현장 가보니… 담임목사 정직 논란 ‘동도교회 사태’ 최대 이슈

입력 2014-04-14 19:59 수정 2014-04-15 03:24


“노회 재정이 마이너스 3000만원이나 됩니다. 상회비(교회가 소속 노회에 내는 분담금)를 안낸 교회는 올해부터 투표권을 제한할 수밖에 없음을 양해해 주십시오.”(이우희 평양노회 회계)

“국민이 세금을 안냈다고 투표권을 안줍니까. 회비를 내지 못했다고 투표권을 안주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박춘명 제자들교회 목사)

14일 오후 서울 강북구 한천로 평강교회에서 이틀 일정으로 시작된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예장 합동) 총회 평양노회의 제174회 정기회. 차기 임원 선출을 앞두고 상회비 납부 문제로 임원들과 총대들 간에 잠시 실랑이가 벌어졌다. 상회비를 내지 못했더라도 일단 투표권을 주는 것으로 일단락됐지만 자칫 ‘빅뉴스’가 나올 뻔한 상황이었다.

예장합동 교단의 ‘정치 1번지’로 꼽히는 평양노회에 교단 안팎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교계를 달구는 주요 뉴스마다 평양 노회가 꼬리표처럼 따라붙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정오 즈음, 기독시민운동단체 회원 10여명은 노회가 열리는 교회 앞에서 피켓시위를 했다. 여신도 성추행 문제로 논란을 빚은 전병욱(홍대새교회) 목사의 징계를 촉구했다. 회의장인 예배당 곳곳에는 기독교윤리실천운동이 배포한 ‘교단선거법 개정안’ 자료도 눈에 띄었다.

지금 평양노회의 ‘뜨거운 감자’는 동도교회(옥광석 목사) 문제다. 최근 옥 목사는 같은 교회 일부 성도로부터 목사자격 문제 등으로 고소를 당했다. 이 때문에 평양노회는 당회장직 정직 및 임시당회장 파송을 결의했다. 옥 목사 거취 논란은 총대들 사이에서 주요 관심사다. 일개 교회가 노회 전체의 분위기를 좌지우지하는 이유는 뭘까. 예장 합동 총회 관계자는 “교단 내 실세 중 한 사람인 K목사를 비롯해 핵심 인사 다수가 동도교회 출신”이라며 “교단 정치의 한가운데 있기 때문에 영향도 크다”고 귀띔했다.

동도교회 사태는 급기야 ‘노회분립’ 논란으로까지 번졌다. 노회의 일부 교회들이 동도교회 사태에 불만을 제기하면서 ‘노회분립 청원안’을 올린 것. 평양노회는 이미 동·서·남평양 노회로 쪼개진 상태다. ‘평양’ 문구가 들어간 노회만 모두 4곳인 상황에서 또 다시 노회를 분립하자는 요구가 터져 나온 것이다. 노회 관계자는 그러나 “이번 노회에서 다뤄질 가능성은 낮다”고 내다봤다.

‘성추행 논란’ 당사자인 전 목사 시무 교회의 노회 가입 여부도 골치 아픈 과제다. 평양노회는 지난해 10월 정기회에서 한 차례 가입을 보류했지만 최종 결정은 하지 않은 상태다. 기독시민단체들이 전 목사에 대한 중징계를 촉구하고 있는 가운데 어떤 결론이 날지 주목된다.

지난해 10월 말 서울나들목교회(박원영 목사)에서 드려진 박정희 전 대통령 추모예배와 관련, 한 총대가 박 전 대통령 추모예배를 주도한 목사를 조사해달라고 요청한 것도 눈길을 끌었다. 당시 설교를 맡은 K원로목사는 박 전 대통령의 독재정치를 옹호하며 ‘하나님도 독재하셨다’고 말해 논란을 빚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