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면평가로 현역 20% 교체”… 새정치연합, 서울시당 개혁공천 대거 물갈이 예고
입력 2014-04-14 03:49 수정 2014-04-14 09:49
진통 끝에 경기지사 경선룰 확정
새정치민주연합이 서울지역 현역 구청장과 시의원을 대거 교체키로 하면서 수도권에서도 개혁공천 바람이 불고 있다. 대대적인 현역 물갈이가 불가피해지면서 진통이 예상된다. 공천 개혁안을 두고 “안철수 대표 측을 배려한 나눠먹기”라는 주장과 “도로 민주당을 막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는 반론이 첨예하게 맞설 것으로 전망된다.
새정치연합 서울시당은 13일 6·4지방선거 구청장과 시의원 후보 공천에서 다면평가를 통해 현역을 20% 이상 교체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당 오영식 이계안 공동위원장과 이목희 공직후보자추천관리위원장은 국회 기자회견에서 “국민과 당원의 뜻을 올곧게 받아 안는 것은 개혁공천을 하는 것”이라며 “엄격한 기준과 원칙, 민주적 경선 등을 통해 당의 정체성에 부합하고 능력과 자질, 도덕성을 갖춘 최적·최강의 후보를 공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서울 25개 구청장 가운데 새정치연합 소속은 불출마를 선언한 고재득 성동구청장을 포함해 19명이다. 시의원은 전체 109명 가운데 새정치연합 소속이 77명이다. 산술적으로 구청장은 3∼4명, 시의원은 15명 안팎 교체가 가능하다. 오 위원장은 “현역으로서 해야 될 역할의 결과들을 좀 더 객관적으로 평가해 그것이 현저하게 좋지 않다면 그만큼 불이익을 감수해야 한다”며 “그것을 기준으로 해서 과감한 인물 교체가 되도록 하겠다는 의미”라고 전했다. 다만 서울시당은 여성이나 청년, 장애인 등 사회적 소수자는 공천 과정에서 일정한 배려를 하기로 했다. 물갈이가 현실화될 경우 현역 탈락자들의 거센 반발이 예상된다.
서울시당은 “특히 호남지역에서 전략공천 등을 통해 과감한 인물 교체가 이뤄질 수 있도록 결단해 달라”고 촉구했다. 개혁공천의 전국적 확산을 지도부에 요구한 셈이다.
새정치연합은 14일 성범죄 뇌물 등 5대 범죄 경력자에게 공천을 주지 않는 것을 핵심으로 한 개혁공천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후보자 친인척의 범죄를 문제 삼아 후보자의 자격을 박탈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어서 물갈이 폭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
이런 가운데 새정치연합은 진통 끝에 경기도지사 경선 룰을 확정했다. 중앙당 선거관리위원회는 경선 룰과 관련해 여론조사를 새정치연합 지지자와 무당층만 대상으로 실시하되 조사 결과에 연령대별 투표율을 반영해 보정키로 했다. 투표율 기준은 2012년 대선 당시 경기도의 연령별 투표율을 적용키로 했다. 이는 경기지사 선거에 출마한 김상곤 전 경기교육감과 김진표 의원의 주장을 절충한 방식이다. 김 전 교육감은 여론조사에서 새누리당 지지자를 배제해야 한다고 요구해왔고, 김 의원은 연령별 투표율을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었다.
임성수 정건희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