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백지신탁’ 역전 올인 金-“네거티브” 반격 鄭… 불뿜는 새누리 서울시장 경선전

입력 2014-04-14 02:20

6·4지방선거 새누리당 서울시장 후보경선에서 ‘주식 백지신탁’ 문제가 주식 보유자인 정몽준 의원과 김황식 전 국무총리 사이의 최대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추격자인 김 전 총리는 역전카드로 백지신탁 문제를 집중 제기하고 나섰다. 정 의원은 조목조목 반박하면서 ‘네거티브 공세’라며 맞대응하고 있다.

김 전 총리 측은 13일 배포한 자료에서 “정 의원은 대기업 대주주와 서울시장을 겸직할 수 있다고 믿는가”라며 백지신탁 문제를 쟁점화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였다. 현대중공업 주식을 소유했던 이명박 전 대통령이 2006년 서울시장 당선 이후 보유 주식을 전량 매각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김 전 총리 측 관계자는 “이 전 대통령은 주식이 786주밖에 없었는데 백지신탁위원회의 ‘직무연관성’ 판정에 따라 매각했다”며 “정 의원의 주식은 770만주인데 직무연관성이 1만 배는 더 높다”고 주장했다.

김 전 총리의 주장은 현대중공업의 최대 주주인 정 의원의 지위와 서울시장직이 이해관계로 얽힐 수밖에 없다는 판단에 근거하고 있다. 그는 “상장회사 3개, 비상장회사 23개 등 26개의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는 현대중공업은 ‘지방의 조선소’가 아니라 서울시와 복잡한 업무관계를 맺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대중공업이 서울시와 최근 5년간 152억원의 물품 구매계약을 체결한 사실을 비롯해 계열사 중 현대기업금융대부가 서울시에 등록한 업체라는 점, 현대오일뱅크의 주유소 설치가 지방자치단체의 허가사항인 점 등을 문제 삼았다.

백지신탁 문제는 박원순 서울시장과의 본선 경쟁에서도 치명적인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주장으로 정 의원보다 김 전 총리가 더 적합한 후보라는 점을 내세우기 위한 전략으로 분석된다. 김 전 총리는 오는 16일 예정된 TV토론을 비롯한 3차례의 TV토론과 3차례의 정책토론에서 백지신탁 문제를 집중 공략할 계획이다.

정 의원 측 경선캠프 관계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김 전 총리의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우선 이 전 대통령의 주식 매각 사례와 비교할 경우 ‘포괄적 직무 관련성’과 ‘개별적 직무 관련성’을 구분해야 한다고 맞섰다. 포괄적 관련성이란 2006년 백지신탁 관련 조항이 처음 적용되면서 서울시장뿐만 아니라 청와대 비서실장, 경제부처 장관 등에게 3000만원 이상 보유 주식에 대해 일괄 매각 처분을 내리면서 적용한 명분으로 현재 통용되지 않는다고 맞받아쳤다.

또 “계열사의 관련성 문제에 대해서는 논외로 봐야 한다”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삼성전자 주식을 소유하고 있으면 삼성전자의 계열사까지 따져 주식을 매각해야 하느냐”고 되물었다. 서울시와 계약한 152억원에 대해서는 “그 중 70억원만 현대중공업의 실제 계약금액으로 5년 매출 250조원의 0.0028%에 해당하는 미미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직무 연관성이 있다는 결과가 나오면 결정에 따르겠다고 이미 선언했는데 왜 문제 삼는지 모르겠다”며 “네거티브로 볼 수밖에 없다”고 역공을 취했다.

두 후보는 백범기념관에서 열린 95주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식에서도 이 문제로 맞부딪쳤다. 김 전 총리는 “법과 사실 관계를 검증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네거티브가 아니며 본선에서도 제기될 문제”라고 말했다. 정 의원은 “네거티브가 아니면 포지티브인가”라며 “김 후보가 ‘내가 법관이라 아는데’라고 하던데 백지신탁심사위원은 아니지 않느냐”고 불쾌감을 표시했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