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의 승부수 “선거 승패 개혁공천 성공 여부에 달렸다”

입력 2014-04-12 04:15

기초선거 무공천을 번복한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공동대표가 11일 개혁공천을 예고했다. 공천을 유지키로 하면서 기호 2번이 부활하는 대신 새 정치의 동력이 꺼졌기 때문에 새로운 돌파구를 찾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개혁공천은 현역 물갈이, 특정계파 학살 등 공천파동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직적 저항과 진통이 예상된다.

◇안(安), 남은 것은 개혁공천 카드뿐=안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6·4지방선거 중앙선거대책위원장단 첫 회의에서 개혁공천을 통한 6·4지방선거 승리를 역설했다.

그는 “선거의 승패가 개혁공천의 성공 여부에 달렸다”며 “가장 중요한 일은 국민이 보기에 깨끗한 후보, 능력 있는 후보, 지역을 위해 헌신할 후보를 엄선하고, 의원에게 줄 서는 후보가 아니고 국민에게 줄 서는 후보를 추천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또 “어떤 정치적 이해관계가 개입될 수 없다”고 못 박았다.

안 대표의 발언은 회의에 참석한 문재인 정세균 정동영 김두관 상임고문의 면전에서 이뤄졌다. 각 계파 수장들 앞에서 정치적 이해관계를 배제하는 공천개혁을 선언한 것이다.

당심에 밀려 무공천 카드를 버린 이상 개혁공천은 안 대표가 지방선거를 겨냥해 던질 수 있는 사실상 마지막 새 정치 카드라는 분석이다. 때문에 뇌물죄, 정치자금법 위반 등 5대 범죄 경력자를 공천 대상에서 일괄 배제하는 내용의 강력한 개혁공천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공천 부적격 사유에 친인척 비리까지 포함하는 등 기준을 강화하고, 현역 단체장에 대해선 만족도와 경쟁력 조사를 실시해 점수를 매긴 뒤 이를 공천 탈락 등의 기준으로 삼는 ‘학점제’ 평가방식을 도입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개혁공천과 함께 경선 룰이 변화를 일으킬 수도 있다. 새정치연합은 광역단체장 경선 방안으로 ①공론조사 50%+여론조사 50% ②공론조사 100% ③여론조사 100% ④당원 50%+여론조사 50% 등 4가지를 마련한 상태다. 기초단위에도 4가지 룰이 적용될 전망이다. 수도권 3선 의원은 “공론조사가 기초단위에 대대적으로 적용될 경우 상당한 이변이 일어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문제는 후보자 등록일인 다음 달 15일까지 시간이 촉박하다는 점이다. 지도부는 이달 말까지 기초와 광역단위 공천을 모두 완료한다는 방침이나 경합이 치열한 곳은 다음 달 초까지 늦어질 수 있다.

◇쇄신 바람에 떨고 있는 호남, 혼란의 경기도=당 지도부는 ‘공천=당선’인 호남지역에서 특히 인적 쇄신 의지가 강하다. 일각에선 호남 30% 현역 물갈이설이 나돌고 있다. 새정치연합은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원 공천을 시·도당으로 넘긴다는 계획이나 민주당계와 안 대표 측 사람이 공동 시·도당위원장을 맡고 있어 갈등이 예상된다. 물갈이 대상인 기초단체장들이 개혁공천 기준에 집단 반발할 가능성이 있다. 무공천 번복 과정에서 드러났듯이 각 계파 혹은 이해관계에 따른 강력한 저항도 예상된다.

경기도지사 선거는 경선 룰 갈등으로 벌써부터 파행이 우려된다. 당 지도부는 지난 4일 여론조사 대상에 새누리당 지지자를 포함하는 경선시행세칙을 발표했지만 김상곤 전 경기도 교육감과 원혜영 의원이 반발하자 새누리당 지지자를 제외하기로 룰을 변경했다. 그러자 김진표 의원이 ‘경선 보이콧’을 거론하며 반발했다. 김 의원은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최소한의 마지노선으로 여론조사에 연령별 투표율 보정을 요구한다”며 “13일 오전까지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경선을 거부하겠다”고 밝혔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