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연합 공천 유지 결론… 여야, 이해득실 분주] 지방선거 ‘1 대 1’ 맞짱 구도
입력 2014-04-11 03:20 수정 2014-04-11 10:06
새정치민주연합이 10일 기초선거 무공천 방침을 철회하고 정당공천을 유지하기로 결정하면서 6·4지방선거는 실질적인 양자대결 구도로 치러지게 됐다. 새정치연합은 지방선거를 50여일 앞두고 공천 유지로 입장을 선회함으로써 신당 창당과 새 정치의 대의명분은 잃었지만 실리를 챙겼다는 평가다. 새누리당은 ‘대선 공약 파기’라는 부담에서 벗어난 대신 기초선거에서 야권 후보와 1대 1로 붙어야 하는 새로운 부담을 안게 됐다.
◇‘기호 2번’ 부활…새정치연합은 실리 챙기고, 새누리당은 공약 파기 부담 덜고=새정치연합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기초단체를 장악하고 있어 현역들이 공천을 받아 ‘기호 2번’으로 출마할 경우 프리미엄을 톡톡히 누릴 것으로 전망된다. 무공천으로 후보가 난립했을 때 표가 분산돼 새누리당에 반사이익을 안겨줄 것이라는 우려도 씻게 됐다. 무엇보다 공천을 둘러싼 기나긴 논란에 종지부를 찍어 선거에 ‘올인’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었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야권은 공천을 둘러싼 불확실성을 해소했다”면서 “무공천과 비교하면 확실하게 유리해진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박원열 현대리서치 전무도 “기초단체장·의원 선거에서 후보 난립을 막고 선거에 몰입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이득”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기초선거 무공천을 통합의 연결고리로 삼았던 만큼 창당 명분과 정통성을 모두 잃었다는 데 이견이 없다. 이택수 리얼미터 대표는 “안철수 대표의 새 정치에 기대했던 유권자들의 실망감이 크다”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에 올라오는 글을 보면 ‘너희들(새정치연합) 잘되나 보자’는 부정적인 여론이 우세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초 공천 유지가 지방선거에서 모든 이슈를 다 빨아들일 것”이라며 “이번 결정은 소탐대실”이라고 평가했다.
새누리당은 홀로 공약을 지키지 않았다는 부담을 벗게 됐다. 새 정치에 실망한 중도 성향의 유권자들이 새누리당 지지로 입장을 바꿀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야권 후보 난립으로 기대됐던 반사이익이 사라져 실질적인 선거전은 더 어렵게 됐다는 관측이 나온다.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새누리당이 겉으로는 ‘그런 게 새 정치냐’며 야권을 비판하겠지만 결국 제 얼굴에 침 뱉기”라면서 “1대 다(多) 구도에서 1대 1 구도로 전환돼 바짝 긴장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기초는 야권, 광역은 여권이 유리”…여야 선거전략 고심=새정치연합의 이번 결정으로 안 대표의 입지가 좁아졌다는 데는 의견이 일치했다.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안철수 효과’에 기댔던 야권 입장에선 뼈아픈 대목이다.
이 대표는 “신당 창당 명분과 정통성이 없어진 데 대해 현역 야권 광역단체장들이 방어해야 하는 입장에 놓였다”면서 “안철수 효과가 사라진 상황에서 새누리당 후보와 맞붙어 얼마나 선전할지가 관건”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광역단체장 선거는 새누리당이 10대 7 정도로 우세하다는 전망이 많은 데 이 같은 판세가 더욱 공고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배 대표는 “안 대표 지지율이 정체되거나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 정당 지지율도 덩달아 내려갈 것”이라면서 “광역단위 선거는 오히려 불리해진 양상”이라고 했다.
선거 판세에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지용근 글로벌리서치 대표는 “애초에 기초선거 공천 여부는 국민들에게 민감한 이슈가 아니었다”면서 “이론상으로는 여러 가지 분석을 내놓을 수 있겠지만 실제 표심으로까지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여야는 기초 공천이 몰고 올 파장을 예의주시하면서 선거 전략을 가다듬고 있다. 새누리당 김재원 전략기획본부장은 “새정치연합이 공천한다고 해서 불리하고, 안 한다고 해서 유리한 것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다른 관계자는 “양당이 기초선거 공천을 하면 바닥 여론은 야권에 유리하게 움직일 수 있다”고 긴장감을 드러냈다.
새정치연합은 향후 후보 공천과 경선 과정에서 잡음이 일 경우 더 큰 혼란에 휩싸일 수 있다. 새정치연합 수도권의 한 의원은 “새로운 공천 룰로 선거를 치르려면 시간이 없다”면서 “공천을 안정적으로 완료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권지혜 김동우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