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감은 표밭갈이… 좌표 잃은 전남교육청

입력 2014-04-11 02:12

교사 체벌 후 사망 사건 ‘뒷북감사’ 도중 또 체벌 사건

전남 순천 금당고교의 한 학생이 교사 체벌 후 사망한 사건과 관련 ‘뒷북 감사’ 논란을 낳았던 전남도교육청이 또다시 ‘늑장 감사’ ‘형식적인 감사’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같은 학교의 또 다른 교사가 학생들에게 폭력을 행사하고 체벌까지 내린 사건의 진정 내용이 지난달 말쯤 국민권익위원회의 국민신문고에 게재됐으나 도교육청은 지난 3일에야 감사에 착수했기 때문이다.

특히 교사 체벌 후 학생이 사망한 사건과 관련해 도교육청이 금당고에 대한 전반적인 감사를 진행하고 있는 기간 중에 또다시 교사 체벌 사건이 발생했는데도 이 같은 사실조차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사안이 심각한데도 전남교육을 이끌어야 할 장만채 교육감은 교육현장의 민원을 듣고 해결방안을 찾는다며 지난달 13일부터 오는 25일까지 전남 22개 시·군을 돌며 지역간담회를 갖고 있다. 또 학생들을 대상으로 아침밥 먹기 캠페인도 펼쳤다.

하지만 학생들 간의 폭력이 아닌 교사들의 연이은 학생 체벌에 따른 근본적인 해결책에 고심해야 할 시기에 교육현장을 찾으며 교육관계자, 학부모 등과 간담회를 갖는 것은 6·4 지방선거 전남도교육감 선거를 위한 행보라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박근혜정부가 학교폭력을 4대악으로 규정하고 근절의지를 불태우고 있는 만큼 끊임없이 ‘형식적인 감사’ 논란에 휩싸인 전남도교육청에 대한 정부기관의 책임 있는 조사와 설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앞서 지난 2월 금당고 3학년의 한 학생이 지각을 했다는 이유로 담임교사에게 체벌을 받은 지 13시간 뒤 태권도장에서 갑자기 쓰러져 뇌사상태에 빠졌다가 22일 만에 숨졌다.

해당 학교 측은 교사의 체벌을 숨기기 위해 출석부까지 조작했다는 의혹을 받으면서 도교육청이 전반적인 감사에 나서 지난달 27일 조사를 완료했다.

전남도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학교폭력 예방과 해결을 위해 일선 중·고교에 1년에 4차례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교사 체벌과 관련한 내용은 전혀 드러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순천=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