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무인기 3개 지역별 맞춤 대응
입력 2014-04-10 03:31
국방부는 9일 북한 소형 무인기에 대응하기 위해 전방 지역, 수도권 지역, 후방 지역 등 3개 지역별 특성을 고려해 작전운용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특히 청와대 등 주요 국가시설에는 저고도 탐지 레이더를 집중 배치하는 등 중첩방어 개념을 적용키로 했다.
국방부는 국회 국방위원회에 이 같은 내용의 북한 소형 무인기 위협 대책을 보고했다. 국방부는 우선 북한 무인기 능력 및 운용양상 등을 재평가해 지역별 대응 개념을 발전시키기로 했다. 또 탐지가능 레이더를 조기에 전력화하고 탐지장비와 연동된 타격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전방 지역의 경우 경계초소(GP)와 관측초소(GOP)에서 신형 열상장비(TOD)의 고도를 조정해 공중 감시를 강화하고, 다기능 관측경 감시와 초병들의 육안 관측을 병행하기로 했다. 북한의 현재 소형 무인기 성능으로는 야간 침투가 어렵다고 보고 주간 감시를 강화할 계획이다. 탐지 시 벌컨포와 산탄총, 공격헬기로 타격한다는 방침이다.
수도권 지역에는 TOD 및 다기능 관측경과 함께 군이 운용 중인 저고도 탐지 레이더, 해외에서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저고도 탐지 레이더를 배치하기로 했다. 특히 청와대와 정부청사, 국회, 대법원 등 주요 국가시설에 대해서는 중첩방어망을 구축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군 당국은 이스라엘제 전술 저고도 레이더인 RPS-42 도입을 추진 중이다. 국방부는 “소형 무인기에 대비하기 위해 한반도 지형과 작전환경에 맞는 저고도 레이더에 대한 현지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고도 레이더와 연동되는 소형 무인기 타격 장비로는 독일제 레이저 무기 등이 검토되고 있다. 군 관계자는 “레이저 무기는 낙탄 및 파편 피해가 거의 없어 청와대 등 대도시의 주요 국가시설을 방어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후방 지역은 현재 운용 중인 감시장비를 보완하고 경계인력을 보충키로 했다. 타격에는 벌컨포 등 현존 장비를 활용할 방침이다. 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북한은 우리가 갖고 있는 대공 레이더 시스템이 소형 무인기를 포착하지 못한다는 것을 매우 교묘하게 이용해 침투했다”며 “군사적으로 보면 하나의 기습”이라고 말했다.
김재중 기자,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