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직구·병행수입 활성화] 유통업체들 기대감… 독점 수입업자들 심기 불편
입력 2014-04-10 02:22
정부가 9일 발표한 병행 수입 활성화 방안을 두고 시장에선 이해득실에 따라 엇갈린 반응을 내놓고 있다. 일반 유통업체 역시 병행 수입품 시장이 커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반면 독점 수입업자들은 독과점적 권한을 상실하면서 경쟁력이 떨어져 매출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못했다.
소비자들 입장에선 기존보다 싼 가격에 같은 품질의 수입품을 접할 수 있게 됐다. 그동안 공식 수입업체들의 독과점적 소비재 수입 구조로 인해 해외 구매 가격과 국내 수입 판매 가격은 작게는 2배에서 심지어 5배 이상 격차가 나기도 했다. 정부가 병행수입협회 차원의 공동 애프터서비스(AS) 센터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하면서 병행수입품의 최대 약점이던 보상수리 문제가 해결된 점도 소비자로서는 반가운 소식이다.
일반 유통업계 관계자들은 통관인증제를 통해 병행 수입품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가 높아질 경우 병행 수입 시장 자체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병행수입업체 관계자는 “통관인증제는 사실상 정부가 병행 수입품에 대해 진품임을 보증해준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부가 일부 독점 수입업자가 병행수입 업체의 수입을 부당하게 방해하는 행위 등에 대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서도 반색했다. 업체 관계자는 “독과점적 수입업자가 병행 제품이 가짜라고 소송을 걸면 진위를 가릴 때까지 물건을 팔 수 없었다”면서 “특히 패션 브랜드의 경우 시즌이 지나면 물건을 팔지 못해 소송 때문에 낭패를 당하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각에선 수입 소비재의 가격 인하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백화점 관계자는 “병행수입품의 경우 원하는 모델을 찾기 어렵고 대부분 대중적인 브랜드”라며 “고가의 해외 브랜드엔 큰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수입 제품의 가격 인하 효과는 미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식 수입업체에 모든 책임을 돌렸다는 불만도 나왔다. 한 관계자는 “이미 해외 직구입과 병행수입으로 공식 수입업체의 독점적 권한이 사라졌다”면서 “백화점 등이 매출감소 등의 불이익을 수입업체에게 돌릴까 걱정”이라고 우려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