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무인기’ 대응 전략] 근거없는 ‘무인기 괴담’ 적극 대처 필요

입력 2014-04-10 03:06

인터넷을 중심으로 북한 소형 무인기와 관련한 근거 없는 괴담이 확산되는 데도 정부는 소극적인 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 2010년 3월 천안함 폭침 사건 당시에도 온갖 괴담으로 불필요한 의혹과 소모전이 이어졌던 만큼 정부가 이번만큼은 무인기 괴담에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괴담의 핵심은 정부와 국가정보원이 무인기 사건을 조작했다는 것이다. 여기에 북한 국방과학원이 지난 7일 대변인 성명을 통해 무인기가 우리나라가 벌인 자작극이라고 맹비난하며 괴담을 부채질하고 있다.

현재 인터넷을 떠돌고 있는 괴담은 대략 6∼7개다. 경기도 파주시와 인천 백령도에서 발견된 북한 무인기의 상태가 양호하다는 점에서 정부가 무인기 사건을 조작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늘에서 떨어졌다면 부서진 상태로 발견됐어야 한다는 것이다. 파주에서 추락한 무인기 배터리에서 발견된 글자와 연도를 표기하는 방식이 북한에서 사용되지 않는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일각에선 카메라만 겨우 넣을 수 있는 무인기가 중간 연료 공급 없이 개성에서 서울까지 갈 수 없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에 대해 양욱 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은 “무인기의 특성을 살펴보면 중간 연료 공급 없이 개성에서 서울까지 날아오는 게 전혀 불가능한 일이 아니다”라며 “북한이 무인기를 통해 우리나라를 정찰하며 위협을 가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국방부도 9일 지금까지 발견된 무인기는 북한에서 보낸 게 맞다고 분명히 밝혔다.

그러나 정부는 여전히 무인기 괴담에 대해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정부와 군이 오히려 무인기가 발견됐을 때부터 늑장 대처와 은폐 의혹을 사며 괴담을 부채질한다는 지적마저 나온다. 군과 안보 당국은 지난달 24일 파주시에서 무인기가 발견됐을 때 북한제로 추정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하고도 발표를 미뤘다. 무인기 카메라에 찍힌 청와대 사진에 대해서도 화질이 좋지 않다며 대공 용의점이 불충분하다고 밝히기도 했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