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4월 중 명퇴로 6000명 감원
입력 2014-04-09 04:22
경영난에 빠진 KT가 임직원 구조조정 등 특단의 조치를 시행한다. 대규모 인적쇄신에 나서 이달 안에 본사 인력의 20%가량(6000명 안팎)이 감축될 것으로 보인다.
KT는 노사 합의에 따라 특별 명예퇴직을 시행한다고 8일 밝혔다. 명퇴 대상은 3만여 본사 인력 중 근속 15년 이상 직원 2만3000여명으로 전체 임직원의 70%에 해당한다. KT는 2009년에도 명퇴를 실시해 6000여명을 구조조정한 바 있다. KT는 임금피크제와 임직원 복지 혜택 축소 등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다음 달부터 현장 영업, 개통 등의 업무를 계열사에 위탁키로 했다.
지난 1월 27일 취임한 황창규 KT 회장이 71일 만에 대규모 명예퇴직 카드를 꺼낸 것은 예상을 뛰어넘는 ‘초강경 쇄신책’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KT가 전체 직원의 70%를 명퇴 대상자로 정했다는 점은 의미심장하다.
이번에 명퇴하는 직원들은 근속기간 및 정년 잔여기간에 따라 명예퇴직금을 지급받는다. 개인에 따라 원할 경우 유·무선 상품 유통 계열사 등에서 2년간 근무할 수 있도록 했다. KT는 10일부터 24일까지 명퇴 희망자 접수를 받고 심의를 거쳐 30일 퇴직 발령을 낼 예정이다.
예상 명퇴 인원은 6000명 안팎으로 추정되지만 희망자에 한해 명퇴를 실시하기 때문에 실제 감축 인원에 대해서는 섣불리 짐작하기 힘들다는 목소리도 있다. 희망자가 적을 경우 구조조정이 예상대로 실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회사 관계자는 “6000명이라는 예상 수치는 2003년, 2009년의 사례를 바탕으로 한 것뿐”이라면서 “지금으로서는 어느 정도의 인원이 줄어들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구조조정이 본사의 ‘유선 분야 떼어내기’라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KT가 다음 달부터 현장 영업, 개통, 사후서비스(AS)를 비롯한 플라자 업무(지사 영업창구 업무)를 KT M&S, KTIS, KTCS 및 ITS 7개 법인 등 계열사에 위탁할 계획을 밝혔기 때문이다. 계열사 근무를 신청하게 될 명퇴 대상자들도 유선 분야에서 일하던 인력일 가능성이 크다. KT의 유선전화 수익은 매년 4000억원가량 감소하는 추세다.
황 회장의 ‘삼성 DNA 심기’도 계속될 전망이다. KT는 이날 윤리경영실 내 경영진단센터를 신설하고 ‘삼성맨’ 최성식(54) 전무를 센터장으로 임명했다. 최 전무는 1987년 삼성생명에 입사해 삼성생명보험 경영관리팀담당 상무, 삼성화재해상보험 자산운용 본부장 전무 등을 역임했다. 경영진단센터는 사내 감사 업무와 더불어 그룹 내 계열사 등의 기존 사업 및 신규 사업의 타당성을 검토하게 된다. 구조조정 전략 등을 수립하는 데도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황창규호 KT의 ‘체질 개선 전담반’인 것이다.
구조조정과 동시에 임금피크제 시행과 복지제도 개선 소식이 전해지면서 KT 내부 분위기는 더욱 뒤숭숭하다. 사원 복지기금은 회사 영업이익의 일부를 떼어내 출연해 왔다. 하지만 지난해 1500억원에 달하는 영업적자를 낸 상황에서 복지기금을 계속 지원하는 것은 무리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KT 관계자는 “제도가 바뀌는 부분은 본인 학업 지원 축소, 자녀 대학 학비 보조 폐지, 자녀 중고교 학비 축소 등”이라며 “특히 50대 이상 직원들의 부담이 크게 늘어나게 됐다”고 전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