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공천 찬성’ 명분 지키고 당내 반발 눌러… ‘무공천 반대’ 실리 챙기지만 리더십 타격
입력 2014-04-09 03:20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김한길 공동대표가 8일 기초선거 무공천 실시 여부에 대해 ‘전 당원 투표+여론조사’로 벼랑 끝 승부수를 던졌다. 당 지도부는 ‘무공천 찬성’을 희망하고 있지만 결과를 예단하기 어렵다. 결과에 따라 공천 여부가 최종 결정되는 것은 물론 당내 역학관계에도 파장이 예상된다.
◇무공천 찬성, 통합 명분 지키고 당내 반발 제압=지도부는 이번 결정이 무공천 ‘회군’이 아니라 ‘진군’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당 핵심 관계자는 “진군 명분과 근거를 확실히 얻자는 것”이라며 “내부 시뮬레이션과 외부 여론조사를 살펴보면 일반 국민은 무공천 찬성이 많다”고 말했다. 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 새정치연합 당원은 37만명 내외로 추산된다. 지도부는 표본수가 많기 때문에 당론도 여론조사 결과에 수렴한다고 보고 있다. 최근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여전히 기초선거 무공천을 지지하는 여론이 높다.
친노·486 등 강경파는 무공천 철회에 기대를 걸고 있다. 일부에서는 벌써부터 여론조사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486 의원은 “당론 투표만으로는 무공천 철회 여론이 6대 4 정도로 우세할 것으로 보지만, 국민 여론조사를 섞기 때문에 결과를 예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최대 관건은 설문 문구다. 최원식 전략기획위원장은 “가급적 드라이하게 해야 한다”며 “여론조사 기관은 원래 편향성이 없는 문구를 원칙으로 한다”고 말했다. 무공천 찬성이 확인될 경우 안·김 대표가 ‘민주적 절차’를 거쳤다는 명분을 얻기 때문에 당내 반발 목소리도 위축될 수밖에 없다. 문재인 의원 등은 그동안 “당내 의견 수렴이 필요하다”고 말해왔다.
그러나 무공천 이후에 사후 대책 마련은 지도부의 숙제다. 어떤 방식으로든 기초선거 출마자에 대한 지원 대책이 없을 경우 선거 결과에 대한 책임이 그만큼 커지기 때문이다.
◇무공천 반대, 실리 얻지만 투 톱 흔들=무공천 반대 여론이 높으면 안·김 두 대표는 리더십에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신당 창당의 ‘제1원칙’이 흔들리는 데다 그동안 여러 차례 공언해 온 무공천 약속이 당원과 여론에 의해 뒤집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당 대표 자리를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반론도 있다. 정당 공천으로 후보 난립을 막는 실리를 얻고, 기초선거 출마자뿐 아니라 당내 세력에 ‘유연한 리더십’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무공천 ‘진군파’와 ‘회군파’ 간 여론전도 본격화되는 모습이다. 안 대표는 기자회견에서 무공천 지지를 호소한 반면, 정세균 상임고문은 무공천 번복을 요청했다. 정 고문은 성명을 내고 “정당공천을 통해 정당정치를 살리고 박근혜정권의 독선과 독주를 견제해주시기를 호소드린다”고 밝혔다. 새정치연합만의 무공천에 반대해 온 우원식 신경민 양승조 의원도 성명을 내고 “반칙 전문 정당 새누리당에 맞서 승리하는 길을 선택해야 한다”며 기초선거 정당공천에 힘을 실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