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실험땐 대가 치를 것”

입력 2014-04-09 03:23

북한 비핵화를 위한 6자회담의 한국 측 수석대표인 황준국 신임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북한이 핵실험을 감행한다면 국제사회와 함께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황 본부장은 7일(현지시간) 워싱턴DC 미 국무부 청사에서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회담을 마친 직후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핵실험은 국제사회에 대한 정면도전이자 국제평화와 안전에 대한 위협이 될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황 본부장은 이어 “한·미·일 3국 수석대표들은 북한의 추가도발 가능성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이를 저지하기 위해 단합되고 실효적인 노력을 경주해 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황 본부장과 미국의 글린 데이비스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 일본의 이하라 준이치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 등 3국의 6자회담 대표들이 한자리에 모인 것은 5개월 만이다. 이날 회담에서 3국 대표들은 황 본부장의 발언이 시사하듯 최근 북한의 도발 움직임에 대한 공동대응 방안을 집중 협의했다.

황 본부장은 북한이 거론한 ‘새로운 형태의 핵실험’에 대해 “(한·미·일) 3국이 서로의 정보평가에 대해 얘기를 나눴다”고 전했다. 그는 북한의 추가도발시 제재 방안에 대해서는 “유엔 안보리를 포함해 국제사회와 함께 다른 방법으로 조치를 취해 나가는 문제에 대해 협의했다”고 설명했다.

황 본부장은 이날 오후 국무부 청사에서 데이비스 대표와 별도의 한·미 양자회담을 한 데 이어 저녁에는 워싱턴DC 모처에서 이하라 국장과 비공개 한·일 양자회담을 가졌다. 한·일 양국이 북핵문제를 놓고 양자회담을 한 것은 지난해 6월 이하라 국장 취임 이후 처음이다. 미 국무부는 회담 직후 별도의 언론성명을 통해 “세 나라는 2005년 6자회담 9·19공동성명의 이행과 한반도에서 검증 가능한 비핵화를 평화적으로 이룬다는 성명의 핵심 목표를 거듭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도 북한이 핵실험 가능성을 거론한 데 대해 중국 주재 지재룡 북한대사를 소환하는 등 강력한 경고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베이징의 한 외교소식통은 “중국은 북한과 접촉할 때마다 북핵을 인정할 수 없다고 계속해 이야기하는 것으로 안다”며 “지 대사를 부르는 것을 포함해 최근 (북한에) 갔던 사람들도 (핵실험 반대) 이야기를 많이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이 소식통은 “북한의 핵개발과 중·장거리 미사일 시험 발사 두 가지 문제를 핵심으로 반대 메시지를 분명히 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워싱턴·베이징=배병우 정원교 특파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