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회동거부… 김·안, 무공천 결단 기로에

입력 2014-04-08 03:03


새정치민주연합이 요구해온 기초선거 무공천 관련 영수회담에 대해 7일 박근혜 대통령이 결국 공식 거부 입장을 통보함에 따라 여·야·청의 지리멸렬한 논쟁이 중대 고비를 맞게 됐다. 대선 공약을 뒤집고 민생과 관련 없는 싸움에 골몰하는 정치권을 향한 질타도 커지고 있다.

청와대 박준우 정무수석은 이날 오후 새정치연합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를 예방해 안 대표의 회동 요구에 대한 박 대통령의 거부 입장을 전했다. 회동은 10분 만에 끝났다. 안 대표는 회동 직후 기자들을 만나 “지난 금요일 청와대 민원실에 갔을 때 정무수석이 개인적 의견을 말한 내용이 있었는데 오늘 말씀하신 내용과 동일하다”며 “사과나 양해는 아닌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 수석은 회동에서 “기초선거 공천폐지 사안은 여야가 합의를 이뤄주기 바란다”는 박 대통령의 뜻을 전했다.

회동에 배석한 금태섭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대단히 실망스러운 분위기였다”고 전했다. 그는 “두 대표가 ‘새로운 얘기가 없지 않느냐’”며 “‘더 드릴 말씀이 없다. (박 대통령이) 대선 때에는 선거법 개정사항인 줄 몰랐느냐’고 문제를 제기했다”고 전했다.

박 대통령의 거부로 김·안 대표는 곧 무공천 논란에 종지부를 찍는 정치적 결단을 내려야 한다. 안 대표는 후속 조치에 대해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는 숙고해보고 말씀드리겠다”는 말을 되풀이했다. 지도부 내에서는 무공천 문제로 더 이상 여당에 매달리지 말고 조기에 지방 선거 준비에 돌입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약속 대 거짓’ 구도를 부각시키고 무공천 후속 대책을 마련하는 등 실질적인 사후 대책을 마련하자는 것이다.

당 안팎에서는 무공천 ‘회군론’도 나오지만 금 대변인은 “무공천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고 못 박았다. 지도부 일각에서는 ‘지방선거 보이콧’ 등 극약 처방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새정치연합에서는 청와대를 향한 비판도 커지고 있다. 대선 후보를 지낸 문재인 의원은 회동 무산에 대해 “독재정권보다 더한 야당 무시”라며 “야당에 대한 무시뿐 아니라 의회 무시”라고 비판했다고 대변인 격인 윤호중 의원이 전했다. 문 의원은 또 “제1야당 대표가 시민 입장으로까지 내려가 대통령을 만나자고 했는데 조금의 성의도 보여주지 않았다”며 “대통령이 전혀 정치를 복원하려는 의사가 없고, 약속을 지키지 않은 것에 대해서도 여당 뒤에 숨어서 아무 말도 안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박 대통령은 정치부터 정상화시키길 바란다”며 “민주주의 없이 민생도 없다. 조속히 야당 대표와 만나 대화를 나누고 여야 관계를 풀기를 촉구한다”고 회담 제안 수락을 거듭 촉구했다.

지난 대선 당시 박 대통령과 함께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폐지를 공약했던 문 의원은 그러나 무공천을 둘러싼 당내 논란 내지 지도부의 방향 등에 대해서는 언급을 자제했다.

일부 강경파 의원들은 농성·집회를 통해 지도부에 대여 강경 투쟁을 요구하고 있다.

임성수 정건희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