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무공천 회동’ 불발 땐… 安, 보이콧이냐 선거체제 전환이냐

입력 2014-04-07 03:02

安, 대통령에 연일 회동 촉구… 답변요구 시한인 7일 분수령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공동대표가 박근혜 대통령에게 회동 제안에 대한 답변을 요구하면서 제시한 시한인 7일이 6·4지방선거 기초선거 무공천 논란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새정치연합 일각에서는 지방선거 전면 보이콧 주장이 나오고 있으나 현실성이 낮다는 지적이다. 오히려 이후 박 대통령과 안 대표는 기초선거 무공천과 관련해 각자 갈 길을 가게 될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안 대표는 6일 서울 마포구 홍대 앞 ‘걷고 싶은 거리’에서 박 대통령을 향해 기초선거 무공천 등을 논의할 회동 개최를 재차 촉구했다. 그는 “1968년 박정희 전 대통령 재임 때 야당 재선의원이었던 김상현 전 의원이 대통령에게 면담을 신청하니 놀랍게도 바로 다음날 만나자고 연락이 왔었다”며 “야당을 국정 동반자로 생각하고 내일까지는 가능 여부를 답해 달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7일 오전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할 예정이기 때문에 만일 회동 제안에 대한 메시지가 있다면 이 자리에서 언급될 수 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의 평소 성품을 감안하면 제1야당 대표에게 등 떠밀려서 회동을 수락할 가능성은 낮다. 통상적으로 영수회담이 성사되려면 물밑 조율 작업을 거치는 게 상식이기 때문에 이번 경우는 영수회담 성사보다는 여야가 대국민 여론전을 펼치는 상황으로 변했다. 회동을 요구할 명분이 안 대표에게 있지만 지난 4일 청와대 면회실을 찾아가는 순간 역설적으로 둘의 회동은 어려워진 셈이다.

박 대통령이 안 대표의 제안에 무응답으로 일관할 경우 안 대표의 선택은 크게 두 가지다. 지도부 일각에서 제기된 지방선거 전면 보이콧을 추진하거나 정반대로 지방선거에 적극 뛰어드는 것이다. 우선 최재천 전략홍보본부장과 민병두 전 전략홍보본부장 등이 거론하는 전면 보이콧 주장이다. 대선 공약을 파기한 여권을 심판하자는 논리이나 60%에 달하는 박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을 감안하면 확률 낮은 도박에 가깝다. 새정치연합 박지원 의원은 트위터 글을 통해 “선거 보이콧 의견은 하수 전략”이라고 비판했다. 김한길 공동대표도 기자들과 만나 “당 일부에서 그런 목소리가 있다”면서도 “지도부에서 공식적으로 지방선거 전면 보이콧을 고려하는 논의는 없었다”고 말했다.

안 대표는 박 대통령이 끝내 무응답할 경우 당을 선거체제로 전환하고, 지방선거에 적극 뛰어들 가능성이 높다. ‘안철수 대 박근혜’의 싸움이라는 큰 구도를 명확히 짜놓고 전투에 들어가는 것이다. 다만 강경 투쟁파와 무공천 철회파를 어떻게 다독이느냐가 관건이다. 국회 본관에서 연좌농성 중인 의원 20여명은 기초선거 공천폐지 입법화를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할 예정이다.

새누리당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는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기초선거 공천 폐지는 대통령을 끌어들여 면담할 사안이 아니다”라며 “안 대표와 민주당이 서로 좋아 몰래 연애를 한 것인데 거기서 파생된 문제를 왜 대통령에게 떠넘기느냐”고 따졌다. 윤 수석부대표는 안 대표에게 “영수회담을 제의하려면 영수다움을 보이라”고 공격하기도 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