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의 GWDC 모험] “상수원 오염 우려”… 서울·인천 등 반대에 공회전만
입력 2014-04-05 02:20
구리월드디자인시티(GWDC) 조성사업은 2009년부터 본격 시작됐지만 아직도 안갯속이다. 국토교통부에 요청해 놓은 그린벨트 해제 건이 본격적인 사업 추진의 전제조건인데 여기서부터 발목이 잡혀 있다.
사업 가능성을 열어놨던 국토부가 최근 미온적 태도로 돌아선 데는 서울시 등 인근 지방자치단체들의 반대가 영향을 미쳤다.
서울시와 인천시, 성남시 등은 무엇보다도 GWDC가 한강 상수원을 오염시킬 우려가 크다는 이유를 들어 반대하고 있다. GWDC 사업지구 남측 550m 지점에는 잠실상수원보호구역이 있고 암사취수장과 구의취수장이 1㎞와 4㎞ 이내에 위치하고 있다. 사업부지 일대는 1972년 수도권 식수원 보전 및 관리를 위해 그린벨트로 지정된 곳인데 이곳에 대규모 주거·상업·산업시설이 복합된 도시개발을 추진한다면 상수원 오염으로 이어질 게 뻔하다는 것이다.
정미선 서울시 수질정책팀장은 4일 “그린벨트를 해제해 GWDC 개발사업을 추진한다면 팔당상수원 주변 다른 지자체와 주민들의 개발 요구가 거세질 수밖에 없다”며 “2500만 수도권 주민의 안전하고 쾌적한 식수원 확보를 위해 사업은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부동산 경기가 침체돼 있어 자칫 그린벨트만 해제하고 사업은 시행되지 못하는 불합리한 결과가 초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구리시는 그러나 이런 주장은 지나친 우려라고 강조했다. 사업지구는 상수원보호구역이나 수변구역이 아니며 이곳에서 발생하는 모든 하수는 전량 구리하수처리장으로 유입돼 하수고도처리시설을 통해 처리할 계획이기 때문에 상수원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업지구는 현재 고물상, 창고 등이 무분별하게 들어선 지역이라 GWDC를 조성하면 오히려 환경정비를 통해 수질 개선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박영순 구리시장은 “해외 투자자들은 국내에서 개발제한구역 해제 등 진전이 있으면 바로 들어와서 부지 구매를 비롯한 구체적인 계획을 밝히고 절차를 밟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며 “GWDC는 국익 차원에서도 꼭 이뤄져야 할 사업”이라고 말했다.
구리=정수익 기자, 라동철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