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미세먼지 취약계층 세부 대응체계 만든다
입력 2014-04-05 02:52
보건복지부가 올해 말까지 보건의료 차원에서 황사와 미세먼지 대응체계를 마련하기로 했다. 주무부처인 환경부 업무지만 복지부가 나섰다. 지금의 대응 방식은 건강취약계층에 부적절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꾸준히 제기된 데 따른 것이다.
4일 복지부 관계자에 따르면 황사나 미세먼지에 취약한 심혈관·호흡기·알레르기성질환자와 임신부·노약자를 대상으로 하는 세부 대응체계를 마련하기로 했다. 복지부는 심장·호흡기·알레르기학회에 연구 용역을 맡기고 결과를 토대로 12월에 ‘건강취약계층의 황사·미세먼지 대응 지침’을 발표할 계획이다.
지금까지는 황사나 미세먼지 주의보·경보가 발령되면 ‘외출을 삼가라’ ‘외출할 때 마스크를 써라’ ‘실내에서는 환기를 시키지 마라’는 식의 대응방식이 제공됐다. 하지만 의료 전문가들은 과학적·의학적인 검토 없이 보편적인 행동요령을 제공하는 것을 비판해 왔다.
장재연 아주대 의대 교수는 “미세먼지에 취약한 심장질환자·호흡기질환자·임신부는 마스크 착용이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어 외국에서는 제한적으로 권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기준도 주의사항도 없이 일괄적인 행동요령을 제공하고 있어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심혈관질환자(급성심근경색)·만성폐쇄성질환자(호흡기질환의 일종)·천식환자(알레르기질환)를 대표적인 황사·미세먼지 취약계층으로 꼽고 있다. 이런 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 황사나 미세먼지로 인해 숨질 가능성도 있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황사나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으로 2012년 한 해에만 373만3000명이 숨졌다. 질환별 사망자 비중을 보면 뇌졸중과 허혈성심질환(급성심근경색 등)이 각각 40%를 차지했다. 나머지는 폐쇄성폐질환·폐암·급성하기도감염 등 호흡기질환으로 숨진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는 취약계층에 적합한 대응지침을 만들 계획이다. 예를 들어 천식환자는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천식약을 어느 정도씩 복용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행동요령을 제시하겠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황사와 미세먼지에 의한 피해 규모를 정확히 파악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2012년 약 2만명이 황사·미세먼지로 숨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근거가 미흡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단국대 의대 권호장 교수는 “오염의 기준을 미세먼지 농도로 하느냐 초미세먼지 농도로 하느냐에 따라 사망자 수는 인구 10만명당 1명에서 16명까지 크게 차이가 난다”며 “우선 미세먼지 피해 규모부터 과학적·합리적으로 추정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조은희 기후변화대응TF팀장은 “지난해 12월 알레르기내과 예방의학 호흡기내과 알레르기내과 환경의학 소아과 전문의들과 간담회를 가졌다”며 “전문가 의견과 연구용역 결과를 종합해 생활밀착형 건강관리 방법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문수정 황인호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