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새정치연합 ‘경선 룰’ 큰 틀 확정… 계파간 ‘전쟁’ 돌입

입력 2014-04-04 03:08


새정치민주연합이 3일 6·4지방선거 경선 룰을 사실상 확정하면서 광역단체장 후보들의 치열한 생존경쟁도 시작됐다. 특히 옛 민주당 주요 인사와 안철수 공동대표 측이 모두 출사표를 낸 경기도·광주·전북 등 경합 ‘빅3’ 지역의 경선 결과가 초미의 관심사다.

◇경선 룰 확정…세칙 샅바싸움=새정치연합 노웅래 사무총장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광역단체장 경선 룰을 발표했다. 방식은 4가지로 공론조사 50%+여론조사 50%, 공론조사 100%, 국민참여경선(권리당원 선거+여론조사), 여론조사 100%다. 이 4가지 방식을 어느 지역에 적용할지는 다음주 중 최고위원회의에서 의결한다.

큰 틀이 정해지면서 디테일한 규칙을 어떻게 설정하느냐를 두고 본격적인 샅바싸움이 시작될 전망이다. 우선 공론조사 선거인단 모집 방식이 쟁점이 될 전망이다. 선거인단은 유권자들의 직접 신청을 받는 ‘상향식’과 당 선관위에서 무작위로 전화를 걸어 모집하는 ‘하향식’ 중 택일할 예정인데, 상향식으로 모집할 경우 조직 동원이 가능한 옛 민주당 측 후보가 유리하다.

선거인단을 야권 지지층만을 대상으로 모집하는 인바운드 방식과 여야 지지층 구별 없이 모집하는 아웃바운드 방식 중 어떤 것을 택할지도 쟁점이다. 인바운드 방식은 조직을 갖춘 옛 민주당 측이, 아웃바운드 방식은 중도층으로부터 지지를 받는 안 대표 측이 유리할 수 있다.

선거인단 규모도 복잡한 문제다. 새정치연합은 일단 상향식 선거인단 모집의 경우 유권자의 0.2%, 하향식 모집의 경우 3000명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안 측 인사들 경선 통과 쉽지 않을 듯=뜨거운 경쟁이 예상되는 지역은 경기도·광주·전북이다. 당 안팎에선 이 지역에서는 ‘공론조사 50%+여론조사 50%’ 방식이 유력한 것으로 보고 있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안 대표 측 인사들을 배려해 진입 장벽을 대폭 낮춘 것이 경선 룰의 핵심”이라며 “안 대표 측 인사들이 ‘새 정치’를 내걸고 얼마나 선전할 수 있느냐가 관심사”라고 말했다.

안 대표 측에 대한 배려에도 경선 결과를 전망하기는 쉽지 않다. 우선 여론조사에서 안 대표 측 인사들이 예상외로 고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기도지사 선거에 출마한 안 대표 측 김상곤 전 경기도 교육감은 최근 여러 여론조사에서 경쟁자인 김진표 의원에게 근소한 차로 뒤지고 있다. 안 대표 측 윤장현 광주시장 후보도 경쟁자인 강운태 시장과 이용섭 의원을 추격하는 상황이다. 전북에서도 송하진 전 전주시장이 안 대표 측 강봉균 전 재정경제부 장관을 앞서고 있다.

공론조사도 유불리를 예단할 수 없다. 공론조사는 선거인단이 후보자들의 정견 발표와 상호 토론을 보고 투표하는데, 옛 민주당 후보들이 정치·행정 경험에서 앞선다는 게 대체적 평가이기 때문이다. 경기도지사 경선에 나선 김진표 원혜영 의원은 선거에 잔뼈가 굵은 중진 의원인 반면 김 전 교육감은 정치 신인이다. 광주에서도 강 시장은 현역이어서 시정을 잘 파악하고 있고, 이 의원도 오랜 관료생활로 행정에 능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편 새정치연합의 기초선거 무공천과 관련해 신경민 최고위원은 한 온라인 팟캐스트에 출연해 “무공천을 하려면 차라리 정당을 해산하는 것이 맞다고 본다”며 전면 재검토를 요구했다. 우상호 의원도 보도자료를 내고 다시 전당원 투표로 무공천 여부를 정할 것을 제안하면서 무공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임성수 정건희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