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지기업들 울산에 대규모 투자한다

입력 2014-04-03 15:26

[쿠키 사회] 외지기업들이 산업수도 울산에 미래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투자를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시는 경제부시장 직속 ‘지방규제개혁 추진단’을 설치해 기업들의 투자를 가로막는 규제를 과감히 수술하겠다고 밝혀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3일 울산시 등에 따르면 현대중공업과 미포조선에 조선기자재 등을 납품하는 영광공작소와 성일HR는 지난달 울주군에 1000억원을 투자해 울산 인근지역에 분산돼 있는 공장들을 울산으로 전부 이전 시키겠다는 투자의향서를 제출했다. 영광공작소는 연매출 520억원의 중견 기업이다.

이 업체는 현재 2만평 규모의 부지 조성을 위해 울산시와 협의 중이다. 공장이 이전되면 이들 업체로부터 300여명의 고용창출이 예상된다.

산업용 펌프를 생산하는 세원기계는 지난달 중순 울산 신일반산업단지에 새 보금자리를 마련했다. 이 업체는 현재 30억원을 투자해 1700평 규모의 공장을 짓고 있다.

지난해에는 에쓰오일이 울주군 온산읍 울산석유비축 기지를 활용한 8조원 규모의 투자하는 등 총 44개의 기업이 울산에 9조1000억원을 투자했다. 이들 기업들은 신일반산업단지와 매곡2·3차, 중산2차 등 일반산업단지에 입주하게 된다.

이처럼 외지의 기업들이 울산에 진출하게 된 것은 기업 수요 분석과 적극적인 유인책의 결과다.

울산시는 지방규제 완화를 위해 기업과 수요자 입장에서 불합리한 규제개혁 전담 태스크포스팀을 가동 중이다.

시는 기업과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규제개혁을 위해 민간 경제단체 및 기업체와 동반관계를 형성, 현장밀착형 기업규제 개선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공단지역이 많은 울주군은 사업대상자로 선정된 기업체에 대해서는 공장등록 후 투자액과 신규고용에 대한 증빙서류를 제출하면 투자금액의 10%의 범위 내에서 최대 20억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허만영 울산시 경제통상 실장은 “우량 기업을 유치해 지역의 고용을 창출할 수 있고 연관 산업의 동반 상승도 가능해졌다”며 “기업들의 공장 신증설에 따른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울산=국민일보 쿠키뉴스 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