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무인항공기 테러 가능성 있다…정부, 北에 공식 항의 검토

입력 2014-04-02 19:55 수정 2014-04-03 03:33

군 당국은 북한의 소형 무인기가 향후 기술 개발이 되면 생화학무기 등을 탑재해 테러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보고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또 현행 방공망이 북한의 무인기 등 소형 경량 비행체를 식별하기 어렵다고 판단돼 전반적인 방공작전 체계를 보완하고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2일 북한 소형 무인기의 특정 표적에 대한 테러 가능성에 대해 “탑재 중량이 1㎏ 정도인데 이를 더 발전시키면 테러 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현행 방공망은 AN-2기 등 정상적인 비행체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소형 경량 비행체를 식별하는 데는 제한된다”며 “이를 계기로 방공작전 체계를 보완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에 발견된 두 소형 무인기를 정밀 감식한 결과 모두 북한 제품인 것으로 결론 내렸다(국민일보 2일자 1·2면 참조).

정부는 청와대에서 김장수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열어 3시간 동안 북한의 무인항공기 활용에 대한 대책을 논의했다. NSC 상임위가 3시간 동안 열린 것은 지난해 12월말 설치된 이후 처음이다. 정부는 최종 조사 결과가 나오는 대로 북한에 공식 항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군 당국이 지난달 24일과 31일 경기도 파주와 인천 옹진군 백령도에서 각각 발견된 무인기를 북한의 소행으로 판단한 근거는 파주에서 발견된 소형 무인기의 경우 배터리 뒷면에 ‘사용중지날자’ ‘기용날자’라는 글자가 적혀 있었기 때문이다. ‘사용중지날자’는 제품의 사용기한을, ‘기용날자’는 제품을 쓰기 시작한 날짜를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북한은 우리말 ‘날짜’를 ‘날자’로 표기한다. 백령도에서 발견된 무인기도 파주에서 발견된 것과 연관성이 있고 동일하게 제작된 것으로 군 당국은 보고 있다.

군 당국은 낮은 고도로 나는 비행체를 포착하기 위해 성능이 좋은 저고도 탐지 레이더를 해외에서 긴급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김재중 기자,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