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與 ‘5인 공동위원장 선대위’ 4월 중순 출범
입력 2014-04-03 01:35
새누리당이 이달 중순 선거대책위원회를 출범시키며 6·4지방선거 선거체제로 전환한다. 선대위는 5명의 공동위원장 체제로 운영된다. 황우여 대표, 최경환 원내대표, 서청원 이인제 김무성 의원이 공동선대위원장으로 지방선거를 진두지휘할 계획이다.
새누리당 고위 관계자는 2일 “오는 10일 제주도를 시작으로 광역단체장 후보들이 선출되기 때문에 그 시기에 맞춰 선대위를 발족할 계획”이라며 “선대위 출범 일자는 20일이 가장 유력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5명의 공동위원장들이 특정 지역을 책임지는 형식이 아니라 전국을 돌며 선거를 지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새누리당은 최고위원들과 각 지역에 득표력이 있는 의원들을 중심으로 선대위원을 구성할 방침이다.
새누리당은 당초 황 대표와 서 의원은 수도권, 최 원내대표는 대구·경북(TK), 이 의원은 충청권, 김 의원은 부산·경남(PK)을 책임지는 방안을 검토했다. 그러나 수도권이나 충청권·강원도 등 접전지역에 총력을 쏟기 위해 지역 책임제를 실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또 영남을 떠맡은 선대위원장과 접전지역을 책임지는 선대위원장 간 정치적 형평성 문제도 고려됐다.
이에 따라 5명의 공동선대위원장은 지역 구분 없이 격전지에 투입돼 새누리당의 승리를 위해 전력을 쏟을 방침이다. 중앙선대위 밑에 설치될 지역선대위는 해당 지역의 승리를 위해 매진할 계획이다.
새누리당은 황 대표·최 원내대표 체제가 모두 5월 14일 임기가 끝나는 만큼 다음 날인 15일부터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려 당무를 처리할 예정이다. 비대위원장은 차기 원내대표가 맡는다.
선거체제가 본격 가동될 전망이지만 우려도 적지 않다. 새누리당 내부에서는 경선이 네거티브 양상으로 전개되는 것에 대한 경고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서 의원은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우리 후보끼리 너무 네거티브와 비난전이 심하다”면서 “당원뿐 아니라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낯이 뜨겁다”고 비판했다. 서 의원은 “만약 이런 일이 반복된다면 당에서 강력한 대응책을 내놓아야 한다”면서 대책을 요구했다. 그러나 “특정인을 염두에 두고 한 얘기는 아니다”고 강조했다.
정우택 최고위원도 “마치 자신이 박근혜 대통령과 친분이 있다거나 이미 중앙당에서 자신을 낙점했다는 식의 유언비어를 퍼뜨리는 사례가 종종 들려온다”면서 “마타도어(흑색선전)를 하는 후보는 패가망신하고 공공의 적이 된다는 것을 명심하고 엄정하게 경선에 임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런 상황에서 정몽준 의원과 김황식 전 국무총리 측은 경선 자금 출처를 놓고 신경전을 계속했다. 정 의원은 “각 후보가 지출하는 선거비용이 과연 합법적인지, 잘못된 게 없는지 당 클린선거단에서 검증해야 한다”고 공식 요청했다. 이에 김 전 총리 측 관계자는 “선거사무소는 투명한 돈으로 마련됐고 캠프를 작은 규모로 꾸렸기 때문에 수억원이 소요됐다는 것은 허위”라며 반박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