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급 공무원 물갈이] 내부적으로 인사 필요성은 있었지만… 1급들 “쇄신 대상에 포함되나” 촉각

입력 2014-04-03 03:07


일괄사표 관가 표정

조만간 청와대발 인사태풍이 현실화될 것이라는 관측에 관가가 술렁이고 있다. 1급 고위 공무원에 대한 대대적인 쇄신이 있을 경우 국·과장급 간부들의 연쇄 이동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인적 쇄신 1순위로 꼽히는 각 부처 1급 공무원들은 자신이 쇄신 대상에 포함되는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경제부처의 한 1급 공무원은 2일 “아직 장관으로부터 사표 제출을 요구받지는 않았지만 위만 쳐다보고 있는 후배들을 생각하면 이제 나가야 할 때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고 말했다.

청와대 움직임과 무관하게 경제부처를 중심으로 1급 인사의 필요성은 연초 이후 꾸준히 제기돼 왔다. 최악의 인사 적체에 시달리는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사표를 제출한 무보직 1급 3명을 빼도 고위 공무원 정원(34명)보다 4명 초과 상태다. 현 정부 들어 기재부 1급들이 타 부처 차관이나 외부 기관으로 ‘영전’하는 사례가 전무해지면서 고위직 인사 적체를 해소할 방법이 사실상 없는 상황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현오석 부총리 취임 이후 1년 동안 고위직을 외부에 팔아먹지 못하면서 생긴 인사 적체에 구성원들이 상당한 불만을 갖고 있다”며 “지난달 과장급 인사 이후 실·국장 인사가 늦춰지면서 뒤숭숭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와 해양수산부는 내부적으로 1급 인사 요인이 있다. 국토부는 지난 3월 김경식 청와대 국토교통비서관이 제1차관으로 선임되면서 인사이동 요인이 생겼다. 해수부는 지난해 3월 부처가 생긴 이래 1년이 넘도록 실·국장급 인사를 한 적이 없다. 이주영 장관 취임 이후 1급들이 일괄 사표를 내면서 대폭 물갈이설이 흘러나오고 있다.

일부에서는 청와대가 각 부처가 올린 국장급 인사안에 대해 가타부타 말도 없이 심사에 시간을 끌고 있는데 대해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해수부, 국토부, 공정거래위원회 등은 2주에서 길게는 한 달 전에 국장급 인사안을 올렸지만 청와대의 OK 사인이 떨어지지 않아 대기 중이다. 일부 부처는 내부적으로 이미 자체 인사안에 따라 새로운 업무분장을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부처의 한 과장은 “정권 초도 아니고 집권 2년차가 돼서 군기잡기 식으로 1급 물갈이를 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다”며 “제대로 일할 수 있게 빨리 실·국장 인사가 마무리되기만을 바란다”고 말했다.

세종=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