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익환 목사 “남북, 통일위해 군사문제 벗어나 화해·교류로 신뢰 다져 나가야”
입력 2014-04-03 02:45
‘늦봄 문익환 목사 20주기 기념사업위원회’는 문 목사가 1989년 방북 후 발표한 4·2공동성명 25주년을 맞아 2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심포지엄을 열고, ‘진보의 통일 담론과 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첫 발제를 한 시민평화포럼 이승환 공동대표는 “정부의 공식 통일안인 ‘민족공동체통일방안’에는 완전한 통일은 단일국민국가를 건설하는 것이라 명시돼 있는데 이는 곧 남이 북을 흡수하겠다는 뜻”이라며 “흡수통일은 물리력 동원 없이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국민들이 통일에 대한 회의나 공포감을 갖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문 목사가 주장한 ‘민(民)이 주도하는 통일론’을 예로 들며 “한반도 평화구축은 당국 간 협상뿐 아니라 일반 시민이 서로 만나 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고, 통일이 시민 일상의 문제로 자리매김하는 데서 출발한다”고 말했다.
한반도 체제와 통일운동의 방향에 대해 발제한 시민사회연대 정현곤 운영위원장은 “지난 1월 박근혜 대통령의 ‘통일은 대박’ 발언 이후 이산가족 상봉이 성사되고, 대통령 직속으로 통일준비위원회가 구성됐지만 한편으로는 정보기관을 축으로 ‘종북몰이’가 지속됐다”고 지적했다. 정 위원장은 “북은 박 대통령이 지난달 28일 독일 드레스덴에서 ‘한반도 평화통일 구상’을 발표한 직후 해안포를 쏘았고, 핵실험도 새로운 형태로 하겠다고 선언하고 나섰다”며 “양측 정부 모두 분단체제를 정치에 이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는 “군사문제 공방을 벗어나 화해와 교류·협력으로 신뢰를 다져나가고, 관계를 정상화해 평화 속에서 남북이 공존하며 서로 오가고 돕는 사이를 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남과 북의 경제통합 효과에 대해 발표한 북한대학원대 양문수 교수는 “통합은 개성공단처럼 남한의 자본·기술과 북한의 토지·노동력이 결합하는 형태로 이뤄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경제통합이 되면 북한의 철광석과 석탄, 마그네사이트, 마그네슘, 티타늄 등의 개발로 더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며 “또한 중국횡단열차 및 시베리아횡단열차와 연결돼 유럽까지의 물류비가 대폭 절감되며 군사비 지출도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사야 기자 Isaia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