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 취약계층 정부 지원체계 구축된다… 유가족 심리지원사업도 확대
입력 2014-04-02 02:40
노인과 복지 사각지대 저소득층 등 자살 취약계층을 위한 정부 지원체계가 구축된다. 심리적 부검 등 자살 유가족 심리지원사업도 확대된다. 정부는 이 같은 내용의 자살예방종합대책을 올해 안에 마련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13년 자살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이를 토대로 자살예방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임종규 건강정책국장은 “자살예방법이 2012년 2월 시행된 후 처음 이뤄진 정부 주도의 대규모 실태조사를 토대로 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국민 정신건강 증진 등을 담은 중장기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복지부는 우선 농촌지역 노인이나 복지 사각지대 계층 등 자살에 특히 취약한 이들을 위해 보건·복지 서비스를 연계한 통합적 자살 고위험군 지원체계를 마련하기로 했다. 또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자살 고위험군 조기 발견 및 관리를 하고 있는 ‘자살예방 생명지킴이’ 제도를 확대할 예정이다.
자살 원인을 심층 분석하기 위해 유가족 심층면담, 유서 분석 등 ‘심리적 부검’을 확대 실시키로 했다. 지금도 유가족 심리지원사업이 있지만 가족 중 누군가 자살했다는 사실을 입 밖에 내는 것조차 터부시되다보니 유명무실한 상태다.
정부는 심리적 부검과 연계해 자살 취약계층으로 분류되는 유가족 지원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생명존중문화 조성 캠페인도 진행한다.
응급실 내원 자살 시도자 사후관리사업도 강화된다. 응급실에 배치돼 퇴원한 자살 시도자를 관리하는 정신보건전문요원을 확충할 예정이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