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지성인 1600여명 “고노담화 계승하라”

입력 2014-04-01 03:35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 등 일본의 지성인 1600여명이 ‘고노 담화’를 흔들고 있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에 반대하는 공동성명을 31일 발표했다. 와다 교수와 하야시 히로후미 간토가쿠인대 교수 등 일본 학자 6명은 도쿄 학사회관에서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일본 정부는 고노 담화를 앞으로도 계승해야 하고 정부와 사회는 그 정신을 더욱 발전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공동 성명은 이날 참석한 6명을 포함해 16명이 호소자로 참가했고 1617명의 학자가 찬동서명을 했다. 고노 담화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조사 결과에 따라 1993년 8월 4일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당시 관방장관이 발표한 담화로, 군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하고 사죄한 것이다. 이들은 성명에서 “고노 담화에서 표명된 정신을 구현하고 고령이 된 피해 여성들이 명예와 존엄을 회복하는 것은 한국과 중국은 물론 보편적인 인권보장을 공통의 가치로 삼는 구미 및 아시아 각국과의 우호적 관계를 유지·발전시키기 위해서도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특히 “고노 담화가 발표된 후에도 새로운 자료가 많이 발견됐다”며 “위안부 모집에 강제성이 있었다는 점, 당시 일본군과 정부가 이를 진지하게 단속하지 않았다는 점 등 많은 여성에 대한 심각한 인권 침해가 있었으며 이는 일본 법원에 의해 사실로 인정된 것도 적지 않다”고 강조했다.

나카노 도시오 도쿄외국어대학대학원 교수는 “고노 담화는 냉전종식 이후인 1990년대 세계 곳곳에서 이뤄진 과거사 바로 세우기와 전쟁 범죄 반성의 일환”이라며 “고노 담화를 유지한다고 하면서 검증한다는 것은 자기모순”이라고 지적했다.

우에노 지즈코 리쓰메이칸대 초빙교수는 아베 정권이 고노 담화 검증을 통해 피해자 증언의 진실성을 확인하려 하는데 대해 “위안부 증언의 신뢰성을 부정하는 것은 2차, 3차 성폭행이나 다름없다”며 피해자들에 대한 일본 정부의 사죄와 배상을 촉구했다.

이제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