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NLL 도발] 정부 긴박한 대응…NSC 소집 대응태세 점검

입력 2014-04-01 03:34

북한이 31일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향해 수십 발의 해안포를 발사하고 그중 일부가 NLL 남쪽 우리 해상에 떨어지자 청와대 국가안보실과 국방부 외교부 통일부 등 정부 부처들은 긴박하게 움직였다.

정부는 오후 김장수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청와대에서 열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에서 만일 북한이 재도발해올 경우 강력히 대응하도록 만반의 태세를 갖추기로 했다. 또 향후 도발에 대비해 서북도서 지역뿐만 아니라 비무장지대(DMZ) 인근 우리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도 취해 나갈 것이라고 청와대 민경욱 대변인은 전했다.

민 대변인은 DMZ 인근 국민의 안전확보 조치가 지역주민에 대한 대피를 의미하는 것이냐는 질문에 “대피라는 것은 직접적인 공격의 징후나 이런 게 있어야 하는데 거기에 대한 대비를 하겠다는 것”이라며 “(DMZ는) 접경지역인 만큼 거기에 대한 대비를 하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국가안보실은 사태 발생 초기부터 북한군의 포탄 발사 움직임을 정밀 추적하며 유관 부처와 대응 방안 등을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군의 조치 상황은 실시간으로 김 실장을 통해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된 것으로 전해졌다. 민 대변인은 “김 실장을 중심으로 관계자들이 위기관리센터에서 상황을 주시해온 것으로 안다”며 “대통령에게도 필요한 사안을 보고하고 있다”고 전했다. 우리 군이 북한의 포탄 발사에 즉각 대응 사격에 나서고, 공군 전투기와 해군 함정 초계활동을 강화한 조치도 이 같은 협의에 따른 것이다.

한편 청와대는 박 대통령이 독일 방문을 통해 유연한 대북 접근 로드맵을 담은 ‘드레스덴 선언’을 내놓은 뒤 북한의 도발이 이뤄진 점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자칫 북한발(發) 한반도 정세 긴장 격화로 모처럼 완화 분위기를 타는 남북관계 자체가 급격히 냉각되고, 드레스덴 선언에 담긴 실천 방안들이 유야무야되는 최악의 상태로 치달을 수 있기 때문이다.

김정은 북한 정권은 지난해에도 박 대통령이 당선인 신분으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구상을 피력하자 곧바로 장거리 미사일 실험→4차 핵실험→전면전 위협 등 도발을 일삼으며 안보위기 국면을 조성했다. 더 나아가 북한은 일방적인 개성공단 폐쇄 조치까지 취하는 바람에 박 대통령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구체화하기보다는 ‘북핵 불용’과 “북한이 도발하면 즉각 응징할 것”이라는 메시지만 던질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청와대는 이번에도 북한의 잇따른 대남 도발로 박 대통령의 ‘비핵화 전제가 없는 3대 제안’이 전혀 먹혀들지 않는 상황이 만들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는 분위기다. 청와대는 중국을 통한 북한 지도부 압박과 한·미 간 대북정책 조율 등 다각적인 대응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의 도발과 관련해 기획재정부는 1일 오전 8시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추경호 기재부 1차관 주재로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국제금융센터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경제·금융 상황점검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