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새정치연합 ‘경선 룰’ 진통 예고… 安, 첫 의총 ‘노무현 정신’ 강조
입력 2014-04-01 02:54
새정치민주연합이 31일 제2차 공천관리위원회의를 열고 본격적인 공천심사와 경선 룰 심의에 들어갔다. 그러나 옛 민주당과 안철수 공동대표 측의 이해관계가 상충하는 복잡한 고차방정식이어서 진통을 겪을 전망이다.
노웅래 사무총장은 회의 후 기자간담회를 갖고 “몇몇 지도부가 공천을 좌지우지하는 방식이 아니라 국민 눈높이에 맞춰 최강·최적 후보를 뽑겠다”고 말했다. 새정치연합은 광역단체장 후보를 공모하면서 반사회적 범죄 경력이 있을 경우 심사를 배제하고, 최근 3년간 기부내역 등을 받는 등 윤리적 기준을 강화키로 했다.
새정치연합은 경선 룰과 관련해 국민경선을 기본으로 해서 배심원제, 여론조사 등을 어떤 비율로 배합하느냐를 두고 고심하고 있다. 이는 201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박원순·박영선’ 단일화 모델과 유사하다. 당시 조직이 취약한 박 시장을 위해 국민참여경선 40%, 배심원단 투표 30%, 여론조사 30%를 반영했다. 그러나 서울 한 곳뿐이었던 그때와는 달리 이번 지방선거는 수도권, 호남 등 광역단체마다 옛 민주당 측과 안 대표 측의 이해관계가 상충하고 있어 표준적인 경선 룰을 정하기가 쉽지 않다. 전날 공천 룰을 논의하기 위한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한 한 최고위원은 “안 대표 측은 당원이 없기 때문에 안 대표 측이 후보가 나오는 곳과 아닌 곳에 경선 룰을 달리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안 대표는 새정치연합의 첫 의원총회에서 신고식을 가졌다. 그는 기초선거 무공천과 관련해 “노무현 전 대통령이 한 것처럼 여러 어려움을 정면 돌파해야 한다”며 기초선거 무공천 약속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럼에도 정청래 김현미 의원 등은 무공천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하며 전 당원 투표 실시 등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신경민 양승조 우원식 최고위원은 청와대·여당에 기초공천 폐지를 요구하며 서울광장 앞에서 연좌농성을, 원혜영 의원은 광화문에서 1인 시위에 나섰다.
임성수 정건희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