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러시아 ‘우크라이나 해법’ 진통
입력 2014-04-01 03:47
미국과 러시아 외무장관이 30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우크라이나 문제를 놓고 허심탄회하게 논의했다. 양측은 외교적 해결에 공감대를 보이면서도 각론에서는 팽팽한 이견을 보였다.
존 케리 미 국무장관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무려 4시간 동안 솔직한 의견을 주고받았다. 이들의 만남은 지난 28일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간 전화 통화에서 외교적 해결을 합의한 데 따라 이뤄졌다.
하지만 양국 외무장관 회담을 마친 뒤 기자회견이 각각 열릴 정도로 양국의 인식 차는 컸다. 케리 장관은 러시아의 크림자치공화국 합병은 불법이라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어떤 결정도 우크라이나 정부 없이 이뤄지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또 우크라이나 국경에 러시아가 군대를 배치해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며 철군을 촉구했다.
러시아 역시 연방제 도입을 주장하며 맞섰다. 라브로프 장관은 “우크라이나가 통일된 국가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면 지역마다 각자의 경제적 방식과 언어, 종교를 선택하는 연방제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양측은 우크라이나 내부 및 주변의 정치적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숙고하고 논의를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러시아는 합병을 끝낸 크림자치공화국을 특별경제구역으로 지정하겠다고 밝혔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총리는 31일 크림자치정부와의 회의에서 “우리 목표는 (크림)반도를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만드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특별경제구역으로 지정할 것을 결정했다”고 말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크림공화국도 여기에 발맞춰 30일 0시를 기해 현지시간을 2시간 앞당겨 모스크바와 같은 시간대를 채택하며 실질적인 통합 과정에 속도를 냈다.
이제훈 기자 parti98@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