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량 착신전화 이용한 여론조사 문제 많다"… 지방선거 이슈로
입력 2014-03-31 17:08
[쿠키 사회]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대량으로 착신전화를 이용해 여론조사에 응답하는 사례가 많아 이를 금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다. 착신전화가 민심을 크게 왜곡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 움직임이 전국으로 확산돼 각 정당의 후보 경선 룰에도 변화가 올지 주목된다.
31일 전북 정치권에 따르면 전주시장 예비후보자들은 최근 대량의 착신전화를 통한 여론조사 응대를 퇴출시키자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착신전화를 통한 여론조사 참여는 집이나 사무실 등에서 쓰는 지인들의 일반전화를 대거 휴대전화에 연결해 특정 후보자를 지지하는 방식이다.
조지훈 예비후보자는 지난 29일 “대량 착신전환을 통한 여론 왜곡은 국정원 댓글 사건에 버금가는 반사회적 행위”라며 “이 같은 일이 전주시장 후보 사이에서 가장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이제라도 이를 하지 않겠다는 공동선언을 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다른 예비후보들도 “이 같은 여론왜곡은 민심을 도둑질하는 절도행위”라며 반드시 근절되도록 모두 함께하자고 화답했다.
유대희 예비후보는 나아가 31일 전주시선거관리위원회에 수사의뢰서를 접수했다. 유 후보는 “이 같은 행위는 공직선거법 제96조 1항 ‘누구든지 선거에 관한 여론조사 결과를 왜곡·공표 또는 보도할 수 없다’를 위반한 행위로 후보자는 물론 착신전화 당사자 모두 처벌대상이 된다”고 주장했다.
대량 착신전화를 이용한 선거운동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펼쳐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 사람이 지인들의 일반전화를 수십건씩 휴대전화로 연결시키는 것은 물론, 수십대의 일반전화를 신규로 개설하는 경우도 많다는 것이다. 실제로 2010년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완주군수 후보 경선과 관련, 2000여 대의 전화를 착신한 A모(52)씨가 업무방해 등의 혐의로 징역 1년6개월을 선고받았다.
전주시장 후보들은 이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중앙당에 전달, 개선을 요구할 예정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은 물론 새누리당도 이 같은 폐해를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수용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 예비후보는 “4년전 착신전환 사건을 포함해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이 같은 사례가 많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며 “이번 기회에 선거과정에서 착신전화를 통한 여론왜곡을 뿌리 뽑아야한다”고 말했다.
전주=국민일보 쿠키뉴스 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