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 비극 치유에 미국 동참 청원한다
입력 2014-03-26 15:58
[쿠키 사회] 제주 4·3의 비극을 치유하는데 미국도 동참하라고 요구하는 청원문 제출을 위해 서명운동이 이뤄진다.
제주4·3희생자유족회와 제주4·3연구소·제주4·3도민연대·제주대학교 세계환경과섬연구소·세계섬학회·제주민족예술인총연합은 27일 오후 4시 제주4·3평화공원에서 ‘제주 4·3 비극 치유를 위한 한미공동위원단 구성과 운영을 위한 청원’ 운동의 시작을 알리는 참배식을 갖는다고 26일 밝혔다.
단체는 제주도의회를 찾아 의회 내에 한미공동위원단 구성 지원을 위한 특별위원회 구성을 요청하고, 청원문과 서명부를 전달한다.
청원문은 한국과 미국, 일본의 학자와 희생자 유족회로 구성된 ‘정의를 통한 제주 4·3의 사회적 치유를 위한 한미공동위원회’가 작성했다. 지난해 10월 결성된 이 위원회의 한국 위원장은 고창훈 제주대 교수와 정문현 유족회장이, 미국 위원장은 에릭 야마모토 하와이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일본 위원장은 요시다 홋카이도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각각 맡았다.
이들 단체는 오는 10월 말까지 국내외에서 100만명의 서명을 받아 11월 미국 의회에 청원문과 서명부를 제출할 예정이다. 또 제주 4·3에 관한 한국 정부의 진상조사보고서 영문 번역본과 청원문을 중심으로 워싱턴에서 콘퍼런스도 개최한다.
청원문은 한·미 양국 정부와 제주 주민이 참여하는 공동위원단을 구성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사회적 치유를 위한 조처를 취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이와함께 미국의 협조 없이 종결된 한국 정부의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 위원회’의 조사를 강화할 것도 요구하고 있다. 이미 취해진 조처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고, 지속적인 피해 복구를 위해 무엇이 더 필요한지를 검토할 것도 포함됐다.
특히 미국의 책임과 관련해서는 한·미 군부 지도자들과 경찰이 제주 주민의 저항에 과잉 대응했으며, 공산주의 확산을 우려한 양국 군 장교와 경찰은 제주도를 ‘빨갱이의 섬’으로 잘못 규정해 계속적인 폭력을 가져왔다고 규정했다.
제주=국민일보 쿠키뉴스 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