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글속 세상] 대한민국 화학안전 파수꾼… 출동 준비 끝!
입력 2014-03-26 03:59
화학물질안전원 24시
“여러분은 직무수행 도중 순직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고 지원하셨습니까?”
화학물질안전원(김균 원장)에서 신규 임용자 교육을 담당하는 황승률 연구관은 “위험한 국가적 화학 재난에 투입될 마지막 정부 조직이 화학물질안전원이란 사실을 잊지 마라”고 사명감을 강조했다.
우리나라는 연간 1만5840종의 화학물질 4억3250만t(2010년 기준)이 유통되는 세계 7위 규모의 화학 국가다. 화학물질은 우리에게 편리하고 풍요로운 삶을 제공하지만 강한 독성 때문에 사고가 나면 짧은 시간에 큰 피해가 발생한다. 사상 최악의 화학 사고로 기록된 1984년 인도 보팔시 유독가스 유출 사고 당시 2800명이 사망하고 2만여명이 실명하는 등 20만명의 인명피해가 났다.
우리나라에서도 크고 작은 화학 사고로 인한 산업 피해가 연간 18조원에 육박한다. 특히 2012년 9월 발생한 구미 불산누출 사고는 화학 사고의 심각성을 일깨워줬다. 구미 사고의 원인을 분석한 정부는 현장 컨트롤타워의 부재로 초기에 일사불란하게 대응하지 못해 피해가 커졌다는 분석을 내놨다.
이에 따라 화학 사고 예방·대응을 주요 국정과제로 채택한 현 정부는 첫 국무회의에서 ‘화학물질 누출 사고 예방대책’을 보고했고, 국무조정실 등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이후 지난 1월 화학물질안전원이 대전 대덕연구단지에 문을 열었다. 최근엔 1차 화학 사고 예방·방재를 위해 시흥 울산 여수 서산 익산 구미 등지의 산업단지에 화학재난 합동방재센터 6곳이 개원했다. 이곳에선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소방방재청 등이 협업 근무를 하고 있다.
화학물질안전원의 주요 업무는 화학물질 사고·테러를 사전에 예방하고, 유사시 신속하게 대응하는 원스톱 위기관리 컨트롤타워의 역할이다. 평상시엔 24시간 상황실을 운영해 화학 사고를 감시하고, 2015년 시행 예정인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 제도’를 운영·관리한다. 장외영향평가란 사업장 외부에 피해가 없도록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하는 것이고, 위해관리계획은 위험 화학물질 취급 시 공정 안전과 비상계획 등으로 사고에 대비하는 제도다.
화학물질안전원 마재정 사고대응총괄과장은 “화학 사고는 특성을 잘 알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사고 현장의 최일선을 담당할 그는 “단순 화재진압 방식인 물로 불을 끄다 화학물질이 폭발을 일으켜 피해가 더 커진 사례가 많다”며 “사전 예방적 측면에서 화학물질 정보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확대 운영하는 일도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화학물질안전원 초대 원장에 취임한 김균 원장은 “이른 시일 내 조직을 정착시키고 활성화해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것”이라며 “예방체제 강화로 화학 사고 제로 국가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전=사진·글 김태형 선임기자 kimt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