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광주역 진입 6·4지방선거 최대 쟁점으로 떠올라
입력 2014-03-25 16:31
[쿠키 사회] 2015년 개통을 앞둔 KTX호남고속철도(충북 오송~광주 송정 182.3㎞)의 광주역 정차 여부를 둘러싼 갑론을박이 한창이다.
광주시는 “내년 초 개통될 KTX호남선의 광주역 진입문제가 6·4지방선거의 최대 쟁점중 하나로 떠올랐다”고 25일 밝혔다.
재선을 위해 23일 차기 시장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한 강운태 광주시장은 지난 10일 확대 간부회의에서 이에 관해 불을 지폈다. 강 시장은 “KTX호남선이 개통되면 모든 KTX 열차가 현재 복합환승센터가 건립 중인 광주송정역에 진입하게 될 것”이라며 “이중 일부를 광주역까지 연장 운행토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광주송정역~광주역 구간의 경우 속도가 느린 일반철로 12㎞를 활용해 KTX 승객들이 지하철이나 버스, 택시로 번거롭게 갈아타지 않더라도 광주 도심까지 한번에 올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강 시장이 출마선언 직전에 KTX광주역 정차에 관해 언급한 것은 즉각 정치적 해석을 낳았다. 상주인구가 50만 명에 가까워 광주에서 가장 유권자가 많은 북구의 표심을 의식한 발언이라는 것이다.
오는 6·4지방선거에서 강 시장과 맞설 이용섭 국회의원은 강 시장과 다소 다른 입장이다.
이 의원은 “6·4지방선거에서 선출될 민선 6기 시장이 취임한 뒤 시민 공청회 등을 통해 시민여론을 수렴하고 사회적 합의를 거쳐 결정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이다. 시장선거를 앞두고 ‘벌통’이나 다름없는 민감한 문제를 섣불리 건드려 소모적인 자치구 간 갈등을 부추기지 말자는 의미다.
이 의원은 “지방선거를 앞두고 KTX 광주역 진입이 정치쟁점화되는 것은 옳지 않다”며 “광주의 균형발전을 가장 먼저 고려해야 마땅하다”는 원칙론을 고수했다.
시장선거에 뛰어든 이병완 노무현재단 이사장과 윤장현 새정치연합공동위원당도 구 도심 활성화를 위해 광주역 진입에 반대할 이유가 없다는 시각이다.
이 이사장은 “북구와 남구 주민들이 광주역을 편리하게 이용하는 상황에서 KTX 열차가 광주역에도 운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위원장은 “광주역이 폐쇄되면 북구 주민들의 집값이 크게 떨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KTX의 ‘광주송정역 일원화’가 지켜지지 않는 데 따른 반론도 만만치 않다.
광주역과 광주송정역의 거리가 12㎞에 불과한데 굳이 시속 300㎞로 달리는 열차를 일반철로로 다시 되돌려 도심 한복판에 위치한 광주역까지 운행하도록 강요할 필요가 있느냐는 것이다.
향후 광주역 기능을 대신할 광주송정역 복합환승센터 건립사업도 수익성 감소로 차질이 우려돼 해당 사업자들이 반발하는 상황이다.
교보증권㈜과 ㈜KT이 출자자로 참여한 서희건설 컨소시엄은 2013년 7월 광주시와 복합환승센터 개발사업 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2017년까지 2300억원을 투자해 광주송정역 2만2000㎡의 부지에 지하 3층·지상 11층, 연면적 11만2000㎡의 복합환승센터를 건립하기 위한 공사를 진행 중이다. 이 곳에는 호텔과 쇼핑센터 등 숙박·유통·문화·관광 시설이 다양하게 들어설 예정이다.
그러나 KTX정차역이 광주송정역과 광주역으로 이원화될 경우 승객과 유동인구 등이 분산돼 사업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형편이다. 사업자 측은 해당업체들이 광주역 진입을 이유로 입주를 포기할 경우 환승복합센터 건립이 큰 타격을 받게 된다고 반대하고 있다.
광주시 관계자는 “KTX의 광주역 진입에 따른 승객분산이 환승센터 사업에 큰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며 “차기 시장이 선출되면 명확한 정책방향이 정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국민일보 쿠키뉴스 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