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에서 통일의 길 찾다] 왜 드레스덴을 주목하나… ‘통일 한반도’ 그림 그리는 데 최적
입력 2014-03-22 02:54
박근혜 대통령이 구 동독지역의 도시 드레스덴을 주목하는 것은 독일 통일의 경제적 효과가 가장 극적으로 나타난 곳이기 때문이다. 남북통일이 북한지역뿐 아니라 한반도 전체에 가져올 ‘대박’ 효과를 직접 고찰해볼 수 있는 계기라는 것이다. 박 대통령이 ‘드레스덴 선언’을 하는 것은 드레스덴이 통일 전 동독에서 대표적인 공업도시였다는 점에서 남한 대통령이 남포 원산 등 북한의 공업 중심도시에 가서 연설을 하는 것을 연상하는 효과도 감안한 것으로 풀이된다.
독일 남동부 작센주의 주도 드레스덴은 오래전부터 문화와 공업 중심지였지만 제2차 세계대전 때 연합군의 융단 폭격을 받으면서 도시의 90%가 초토화되는 아픔을 겪었다. 동독 정권이 들어서며 동독의 산업 중심지로 자리 잡았지만 전쟁의 상흔은 치유되지 않았고, 경제도 침체를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나 독일 통일 이후 드레스덴은 첨단과학기술 산업을 유치해 ‘실리콘 색스니’(실리콘 밸리와 작센주의 영어명 색스니의 합성어)라는 신조어까지 만들어내는 등 독일을 넘어 유럽의 대표적 과학비즈니스 도시가 됐다.
통일 후 독일 연방 정부는 드레스덴 공대를 포함해 주요 대학과 연구소, 산업단지 등에 무려 12억4000만 유로(약 1조8100억원)라는 막대한 자금을 쏟아 부었다. 탄탄한 기초과학 위에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적극적인 기업 유치 전략으로 지멘스, 폭스바겐, 인피니온, 모토로라, AMD 등 쟁쟁한 기업체가 드레스덴을 찾았다. 드레스덴은 정보기술(IT) 부문 유럽 1위, 기계부품과 나노재료 부문 독일 1위로 성장했다. 최근엔 생명공학과 그린에너지 분야에도 손을 뻗치고 있다. 이미 태양열에너지 분야는 반경 150㎞ 내 지역 연구기관과 기업을 클러스터로 구축하며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로 떠오르고 있다.
경제 발전으로 인구도 증가하고 있다. 드레스덴은 1999년 47만7000명까지 인구가 떨어졌지만 다시 50만명을 넘어섰고 2020년에는 52만∼53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드레스덴은 1980년대 김일성 주석도 방문한 이력이 있는 도시다. 김 주석은 1986년 유럽여행 중 이 곳을 찾아 엘베강에서 유람선을 타는 등 도시 관광을 즐긴 것으로 알려졌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