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사람 심기가 상향식 공천?… 새누리, 유력 정치인들 입김에 도입 취지 변질 양상

입력 2014-03-22 22:19


여당도 야당도 6·4지방선거 앞두고 진통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21일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를 재차 확인했다. 하지만 통합신당(새정치민주연합) 창당을 코앞에 두고 민주당 일각에서 공천 폐지 재검토 주장이 불붙고 있어 향후 통합신당 내 분란의 불씨가 될 공산이 커지고 있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21일 국회에서 열린 중앙위원회에서 기초공천 폐지와 관련, “우리의 결단은 예견된 고통을 감당키로 한 것으로 약속의 정치를 실현하고 더 큰 승리를 위해 이 고지를 넘어야 한다”고 밝혔다.

최재천 전략홍보본부장도 기자간담회에서 “민주당의 일관된 입장은 정치적 약속을 실천하는 것이 새 정치의 출발이고 신뢰정치의 근본인 만큼 (무공천 방침이) 지켜져야 한다는 것”이라고 못 박았다.

무소속 안철수 의원도 기자들과 만나 “현장에서의 어려움은 잘 알고 있지만 서로 어려움을 나눠서 짊어지고 가기로 이미 약속했던 사안”이라며 “기본적으로 김 대표와 제가 합의해서 신당 창당이 시작됐고, 그 합의 정신에 입각한 중요한 사안”이라고 분명히 했다.

반면 민주당 밑바닥 기류는 심상치 않다. 김현미 의원은 이날 의원총회에서 “창당 이후 공천폐지 결정에 대해 진지하게 재검토하고 토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한 참석자는 “상당수 의원들이 이에 공감하는 분위기였다”고 전했다. 그러나 통합신당 창당 명분의 ‘1순위’가 기초공천 폐지이기 때문에 번복할 경우 엄청난 후폭풍이 불가피하다. 당 핵심관계자는 “새 정치는 약속을 실천하는 것이라고 그렇게 말해왔는데 어떻게 기초공천 폐지를 재검토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새정치연합은 통합신당의 새 지도체제로 민주당의 최고위원제를 폐지하는 대신 상임중앙위 체제를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와 안 의원이 상임중앙위 공동의장을 맡고, 상임위원을 동수로 지명하는 방식이다. 상임중앙위 체제는 과거 열린우리당의 초기 모델이다. 현재보다 대표의 권한은 강화하면서도 일정한 견제가 가능한 형태다. 민주당은 검토해본다는 입장이다.

민주당 측 이상민 당헌당규분과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최고위원이라는 명칭은 없어지지만 대표에 대한 견제기능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신당 새 지도부의 임기는 1년이 유력하게 논의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6·4 지방선거 공천 룰은 여론조사와 TV토론 배심원단 평가, 국민참여경선을 혼합한 방식이 거론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민주당 초선·강경파가 주축을 이룬 ‘더 좋은 미래’는 이날부터 1박2일 일정으로 워크숍을 갖고 정강정책 및 당헌당규에 대한 논의에 들어갔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