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선거 때마다 등장하는 흑색선전 이제 그만

입력 2014-03-22 02:11

6·4 지방선거전이 본격화되면서 흑색선전이 또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경쟁 후보를 깎아내리기 위해 근거 없는 악성루머를 퍼뜨리는 흑색선전은 금품살포와 함께 과열·혼탁 선거의 주범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박원순 서울시장 아들 병역과 관련한 괴소문 유포다. 이모씨가 2012년 2월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에서 열렸던 박 시장 아들 주신씨의 공개신체검사 결과가 조작된 것이라는 내용의 전자우편을 지난 12일부터 수차례 청와대를 포함한 70여곳에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박 시장은 ‘허위사실 조작 및 유포’라고 규정하고 이씨와 신원미상인을 선관위에 고발한 데 이어 법적대응 계획을 밝혔다.

박 시장 아들 병역비리 의혹은 2년 전 강용석 당시 국회의원이 제기했던 것으로, 사실무근으로 확인돼 강 의원이 의원직 사퇴까지 한 사안이다. 이씨가 어떤 근거와 신빙성을 갖고 그런 내용을 유포했는지 알 수 없지만 자신이 있으면 병무청에 공식적으로 문제 제기를 하면 될 일이다. 무려 70여곳에 전자우편을 보냈다는 것은 선거를 앞둔 박 시장의 이미지를 훼손하려는 악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관계당국이 배후 조사를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

경북에서는 예천·안동 도청 신도시 일대의 토지를 김관용 경북지사 친인척들이 대량으로 매입했다며 김 지사의 차명 재산이 분명하다는 유언비어가 퍼지고 있다. 기초단체장 출마자들과 관련한 흑색선전은 거의 전국적인 현상이다. 치부(致富)와 수뢰, 병역비리, 여자문제, 학력위조 등이 다수를 차지한다.

흑색선전은 내용의 성격상 한번 유포되면 빠른 속도로 퍼지기 때문에 후보자에게 치명상을 줄 수 있다. 선관위와 경찰 등이 조사를 하더라도 선거가 끝난 뒤에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표심을 왜곡한다는 게 가장 큰 문제다. 이런 점을 감안할 때 흑색선전에 대해서는 선거가 끝나더라도 유포자를 반드시 찾아내 엄벌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당국이 조사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흐지부지할 경우 흑색선전은 선거 때마다 도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