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헤이그서 3국 정상회담 가닥
입력 2014-03-20 03:31
정부는 오는 24∼25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리는 핵안보정상회의 기간에 미국, 일본과 함께 한·미·일 3국 정상회담을 갖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19일 알려졌다. 정부는 북핵 문제 등 동북아 안보협력을 정상회담의 주요 의제로 하되 구체적인 정상회담 일정 등은 현재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열어 한·미·일 3국 정상회담 개최 방안을 논의한 뒤 논의 결과를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와 정부는 조만간 3국 정상회담 수용 여부를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 류길재 통일부 장관, 김관진 국방부 장관, 남재준 국가정보원장이 참석한 NSC 상임위에선 또 정상회담 참가 방안과 함께 포괄적인 안보 현안도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헤이그에서 한·미·일 정상회담이 이뤄지면 이는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첫 공식 만남이 된다. 미국은 최근 헤이그 핵안보정상회의를 계기로 양대 동맹국인 한국과 일본이 동북아 안보 협력 문제를 논의할 것을 적극 요구했으며, 여기에는 특히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소식통은 그러나 한·미·일 3국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 “현재로선 아무 것도 정해진 게 없다”고 말했다.
청와대와 정부 안팎에선 한·일 정상회담의 경우 일본군 위안부 등 과거사 현안과 역사인식 문제에 대해 진정성 있는 조치가 먼저 이뤄져야 가능하지만 북핵 대응방안 등 안보 협력을 의제로 한 다자 정상회담은 가능하다는 기류가 흐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한국이 3국 정상회담을 수용하는 쪽으로 기울고 있지만 부정적인 의견도 있어 현재 미국과 일본 정부가 막바지 설득을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