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연합이 18일 통합신당(새정치민주연합)의 정강정책에서 민주당 정강정책에 명시된 ‘6·15 남북공동선언과 10·4 남북정상선언 등 남북한의 기존 합의를 존중하고 계승한다’는 내용을 제외할 것을 제안했다. ‘탈(脫)김대중(DJ)·노무현’의 시동이라는 분석이 나왔고, 민주당 내 국민의정부 인사들과 진보 그룹은 즉각 반발했다.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은 정강정책분과위원회 회의를 열고 정강정책 초안에 대해 논의했다. 새정치연합 측 윤영관 공동분과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과거의 소모적, 비생산적인 이념 논쟁은 피하는 게 좋다”며 “민생 같은 큰 이슈에 집중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자 민주당에서 햇볕정책의 정신이 담긴 6·15선언과 10·4선언 계승을 명문화해야 한다는 반발이 나왔다. 민주당 박지원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좋은 역사와 업적이 논란이 된다면 승계하지 말아야 하느냐”며 “두 선언은 반드시 승계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기식 의원도 트위터에 “6·15, 10·4선언 계승이 소모적인 이념 논쟁의 대상입니까. 그건 새누리당의 입장”이라고 비판했다.
4·19혁명과 5·18민주화운동도 초안에는 없었다. 새정치연합은 논란이 일자 4·19혁명과 5·18민주화운동을 정강정책 전문에 명시하기로 했다며 수습에 나섰다. 안철수 의원도 민주당 상임고문단 만찬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우리들이 갖고 있는 역사인식은 분명하다”며 “역사적인 인식이 꼭 필요한 부분은 다 반영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6·15와 10·4’ 정강정책서 안 뺄듯… 민주. 脫DJ·노무현 시동에 반발, 安 사실상 원위치
입력 2014-03-19 03:31 수정 2014-03-19 16:02